[Economist] A World of Connections : a special report on social networking

본 내용은 Economist의 1월 Special Report인 A World of Connections 중 Profiting from friendship 부분을 번역한 것임


Friendship을 통해 돈을 벌기


소셜 네트워크에는 비판하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많은 돈을 벌 기회가 있다.


실리콘밸리의 기업가들은 절반은 농담조로 URL 전략이라고들 부른다. 이 3글자는 보통 인터넷을 통해 접근이 가능한 고유의 파일을 나타내는 Uniform Resource Locator를 지칭한다. 하지만 인터넷의 신생 기업들 사이에서 URL은 다른 뜻을 가진다. Ubiquity first, Revenue Later. 일단 널리 퍼뜨리고, 나중에 수익을 거둔다. 이는 지난 몇 년 동안 이익을 낼 걱정은 하지 않고 사용자들을 끌어 모으는데 집중한 대부분의 거대한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들의 전략 중 상당히 많은 부분을 설명한다. 이러한 전략 덕택에 많은 사용자들을 확보하는데 성공했지만 그 끌어 모은 이용자들로부터 어떻게 수익을 낼지에 대한 커다란 의문을 남겨놓았다.


구글이 그들이 제공하는 검색 결과와 나란히 의도된 광고를 보여주며 수십억 달러를 벌어들일 수 있었던 것과 같은 방법으로 소셜 네트워크 산업이 엄청나게 성공적인 형태의 광고를 통해 스타덤에 오를 수 있을지가 현재의 이슈이다. 주장은 이에서 더 나아가 이러한 공식 없이는 페이스 북 같은 소셜 네트워크는 절대 성공할 수 없다는 데까지 이른다.


회의론자들은 이러한 네트워크가 두 가지 커다란 핸디캡을 안고 있다고 주장한다. 첫째로는 사람들이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에 로그인 하는 것은 친구들과 어울리기 위해서이므로 광고는 신경도 쓰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두 번째는 이러한 사이트들은 사용자들이 그들만의 컨텐츠를 만들도록 하는데, 저속하거나, 음란하거나 선정적인, 혹은 이 셋 모두와 함께 자신들의 광고가 노출되는 위험을 광고주들은 원하지 않고 따라서 그들을 끌어 모으기도 힘들 것이라는 것이다.


미미한 클릭율


회의론자들도 나름대로의 근거가 있다. 페이스북 같은 사이트에 보여지는 광고를 클릭하는 비율은 구글의 정확하게 겨냥된 검색 광고에 비하면 아주 작다. 그리고 광고주들이 그들의 브랜드를 소셜 사이트 페이지를 통해 광고하고 싶어하긴 하지만, 몇몇은 이러한 저조한 클릭율 때문에 광고 개제를 요청하는 것을 꺼려한다. “우리는 대부분의 시간을 이러한 네트워크를 통해 사람들과 소통하는데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들에게 광고하는 것이 아닙니다.” 포드사의 소셜 미디어 부서장인 Scott Monty는 말했다. 비록 작년에 사용자의 수가 급격히 늘었지만 가장 큰 광고 시장인 미국에서 소셜 네트워크 산업의 이익은 겨우 4%가 증가해 12억불에 불과하다고 시장 조사기관 eMarketer는 밝혔다.


이것도 사실은 하나의 성과였다. 왜냐하면 온라인 광고 시장 전체가 2009년에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작년 매출이 줄어들었다고 생각되는 마이 스페이스를 제외하고 상황은 좋아진 것으로 보인다. 또 올해 마이 스페이스가 그들의 사이트에서 검색 광고를 구글이 관리하도록 한 협정을 갱신할 때가 다가왔다는 것도 또 다른 안좋은 소식이다. 새로 합의에 다다른다 해도 이는 일정 트래픽에 다다르기만 하면 3년간 900만불을 제시했던 이전 것보다는 더 안 좋은 조건이 될 것이다.


넓은 시각에서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들은 더 희망적이다. 올해 eMarket는 마이 스페이스의 곤경에도 불구하고 산업 전체 매출이 7%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 다른 시장 조사 기관 ComScore는 작년 6월 미국 웹 이용자들이 본 5개중 하나의 광고가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에서였고 마이 스페이스가 여전히 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고 밝혔다. 작년 8월 영국에서의 또 다른 조사도 비슷한 결과를 냈고 통신사들과 소매상들이 광고주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했다.


광고에 대한 클릭율이 이렇게 낮은데도 이러한 네트워크 사이트들은 점점 더 인기를 얻어 갈까? 그 이유 중 하나는 이러한 선도적인 사이트들의 순수한 규모에 끌리기 때문이다. 페이스북의 이용자는 세상의 어떤 TV 네트워크보다 많은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다고 Interactive Advertising Bureau의 국장 Randall Rothenberg는 말했다. 또 다른 기업들이 매력을 느끼는 요소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흥미 관심분야 등 수집된 데이터 덕분에 아주 정밀하게 타겟 광고를 펼칠 수 있는 네트워크의 능력이다. 비록 아직도 자신의 브랜드가 자극적인 컨텐츠와 함께 노출될 위험이 있지만, 기업들은 현재 네트워크 사이트들이 차지하는 광고의 비중이 점점 더 늘어감에 따라 이러한 위험을 기꺼이 껴안을 것으로 보인다.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들에게 더 많은 돈이 몰리고 있는 또 다른 이유는 몇몇 광고주들이 그들의 투자에 대한 막대한 이익을 기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영화사인 소니 Pictures Entermainment의 사장 Michael Lynton은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를 광고에 이용하는 것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었다고 말했다. 사실 Lynton은 그들의 컨텐츠에 대한 온라인 불법 복제에 대한 비판 차원의 인터넷으로는 어떤 도움이 될 만한 것도 얻을 수 없었다는 발언으로 유명하다.


하지만 소니는 그들이 지난 여름 진행한 온라인 실험으로 도움이 될 만한 것을 얻을 수 있었다. 소니는 전통적인 방식의 TV 캠페인을 방영한 이후에 그들의 3편의 영화에 대한 홍보를 페이스북에서의 시리즈 광고로 진행했다. 디스트릭트9은 젊은 남성을, Julie & Julia는 중년 여성을 The Ugly Truth는 더 어린 여성을 대상으로 했다. 영화에 대한 인지도 조사가 TV광고가 끝난 후, 또 웹 광고가 끝난 후 시행되었다. 각각에서 온라인 광고가 인지도를 크게 끌어 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Lynton은 이제 소셜 네트워크가 마케팅에 커다란 지형 변화를 가져오는 것을 확신했다고 말했다.


락, 베이비


이러한 확신을 가지게 된 또 다른 기업은 작년 마이 스페이스와 공동으로 밴드들이 그들의 음악 데모 테이프를 제출토록 한 “Rock the Space” 공모전을 개최한 도요타이다. 약 18,000개가 출품 되었으며 마이 스페이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최우수 테이프를 뽑는 투표가 진행되었으며 해당 밴드와는 음반 계약을 하도록 되어 있었다. 도요타 미국 법인에서 해외 소셜 미디어 마케팅을 담당하고 있는 Doug Frisbie는 이 프로모션이 그들의 브랜드 홍보에 대한 기대를 수배나 훌쩍 넘었다고 말했다.


이 두 기업의 사례는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비평가들이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브랜드에 높은 관심을 가진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Lynton은 또한 사람들이 그들이 깨달은 사실을 친구들 사이에서 서로 말해주는데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때문에 강력한 구전 마케팅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마케터들은 이러한 추천이 상품 구입 결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오래 전부터 알고 있었다. 소셜 네트워크는 이러한 과정을, 예를 들어 어떤 곳의 상품이나 특정 브랜드를 선호하게 됐다는 사실을 자동적으로 친구들에게 전달하는 등의 방법을 써서, 촉진 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기술이다. 


커다란 의문점 하나는 이러한 모든 것들이 커다란 광고 수입으로 연결 될 수 있느냐는 것이다. 소셜 네트워크 들이 그들의 공로로 인정 받고 있는 것보다 더 큰 값어치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커다란 논란이 있을 것이라고 comScore의 애널리스트 Andrew Lipsman은 말했다. 하지만 그는 광고 산업이 현재 일어나고 있는 변화를 느리게 인지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이러한 속도를 따라잡기 위해, 페이스북은 Nielsen과 브랜드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 광고의 영향을 측정하기 위한 일련의 벤치마크를 수행할 연합을 구성하였다. 페이스북의 최고 운영 책임자인 Sheryl Sandberg는 이것이 회사들이 그들의 광고 효과에 대한 피드백을 과거보다 빠르게 얻을 수 있게 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페이스북은 또한 내장된 온라인 투표라던가, 댓글을 달 수 있는 비디오 같은 사람들을 끌어 모으기 위한 새로운 형식의 광고를 실험 중에 있다. 지금까지는 확 끌어당길 수 있는 형태로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단지 현재에 머물러 있는 것처럼 보이지는 않는다. 정확한 수치로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페이스북은 작년 매출이 최소 5억불, 그 이상으로 이는 2009년 중반 자금 흐름이 흑자로 돌아서는데 도움을 주었을 것이다. 세계 경제 불황과 끔찍한 광고 시장을 배경으로 이것은 큰 성과이다. 이는 또한 페이스북이 하나의 성공적인 광고 포맷보다는 다양한 형태의 광고를 통해 잘 해나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하나의 어마어마한 성공이 있을 필요가 없다고 IAB의 Rothenberg는 말한다.


즐거움과 소득


133653014B83E9B80A80B5[1]오직 광고 하나에 의지한 비지니스 모델일 필요도 없다. 일본의 GREE나, 커다란 소셜 네 트워크가 포함된 QQ를 가지고 있는 중국의 Tencent 등 아시아의 여러 기업들은 벌써 흡족한 수준의 이익을 게임이나 가상의 상품을 판매해서 올리고 있다. 2008년, 홍콩 증권 거래소에 상장되어있는 Tencent는 10억불이 넘는 그들의 매출 중 7.2억불이 온라인 게임이나 가상의 검, 상품 같은 아이템 판매를 통해 벌었다. 한국의 싸이월드, 일본의 믹시 같은 아시아의 많은 네트워크 사이트들도 이용자들에게 자신만의 배경이나 다른 자신의 네트워크 페이지를 꾸미기 위한 용품 판매로 많은 돈을 벌었다.


이에 고무되어 다른 기업들도 아시아의 모델에 있는 요소들을 포함 시키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6천만명의 가입자를 가진 미국의 Hi5는 다양한 게임을 그들의 플랫폼에 런칭 시키고 이들 게임에서 사용할 수 있는 Hi5 코인이라 불리는 그들만의 가상 화폐를 만들었다. 이 회사의 최고 기술 책임자인 Alex St John는 이용자들 사이에 사용되는 화폐 등의 스폰서로 나서도록 기업을 설득하는 등, 게임과 광고가 쉽게 융합될 수 있다고 말한다.


Ning은 게임보다는 선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10월 그들은 사람들이 그들만의 네트워크를 시스템 상에서 구축하고 자신만의 디지털 아이템을 다른 사용자들에게 팔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를 런칭했다. 아이템의 가격은 50센트부터 10달러까지로, 40만개 이상이 매월 팔리고 있으며 이 이익을 동등하게 Ning과 고객이 분배한다. 이는 네트워크 관리 요금과 광고 판매 수익으로 벌어들인 매출에 추가될 것이다. 광고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페이스북 조차 가상의 생일 케잌, 샴페인 병과 다른 상품 창고를 가지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에서 이런 사업의 아름다움은 가상의 창고를 제작하고 저장하는데 비용이 얼마 들지 않는 다는 것이다. 게다가, 폐쇄된 시장이기 때문에, 높은 마진을 올릴 수 있는 선에서 가격을 고정 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어느 정도는 가상의 아이템들을 팔아서 큰 돈을 벌 수 있다는 개념이 기이해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행동은 실 세계에서 사람들간의 관계를 돈독하게 하기 위해 물리적인 선물을 주고 받는 것을 그대로 답습한다. 비록 아시아가 디지털 장신구들을 파는 훨씬 더 큰 최대의 시장으로 남아있지만, 연구기관 Inside Network는 미국의 다양한 웹 사이트에서의 가상 물건의 판매가 작년 10억불에 달했고 2010년에는 16억불까지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수수하게 아니면 화려하게?


또 다른 수익성이 좋은 비지니스 모델 중 하나는 이용자에게 프리미엄 서비스에 대한 요금을 부과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이 가장 적합한 것은 비지니스 대상의 네트워크이다. 예를 들어, LinkedIn은 기본적인 무료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사용자에게 최대 500달러의 월 가입 요금을 지불할지 물어본 후 추가적으로 다수의 소개 이메일을 사이트의 다른 이용자들에게 보내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년에 1억불 이상의 매출을 올리는 것으로 알려진 이 기업은 기업들에게 원하는 이력을 찾아 낼 수 있도록 돕는 온라인 도구를 제공하는데 요금을 부과하여 돈을 벌기도 한다. 이러한 “freemium” 모델과 부유한 고객까지 전달되기를 원하는 거대 브랜드들의 충분한 양의 광고가 결합되어 LinkedIn으로 하여금 몇 년 동안의 운영 이익을 벌게 해줬다.


소셜 네트워크들은 또한 검색 엔진들의 더 많은 컨텐츠를 확보하기를 원하는 욕구를 이용해 이득을 챙겨왔다. 트위터는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의 검색 서비스 Bing의 검색 결과에 트위터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시키도록 허용하는 돈이 되는 계약을 10월 체결했다.


올해 그들은 두 가지 방법으로 더 많은 돈을 벌 계획을 세우고 있다. 첫 번째는 트위터 상에서의 토론을 분석하는 도구 등의 서비스를 기업들에게 제공하고 요금을 부과하는 것이고, 또 사람들이 그들이 받는 트윗이 실제 기업이라는 것을 알게 해주는 인증된 계정을 통해서 이다. 그들은 또한 구글이 하는 것과 마찬가지의 맞춤형 광고를 시작해 돈을 벌기를 원한다. 트위터의 공동 설립자중 하나인 Biz Stone은 트위터의 팬들은 이미 다른 사람들로부터 정보를 얻는데 이 서비스(트위터)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기꺼이 받아들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사람들은 일상적으로 상업적인 사이트의 링크를 나누고 있으며 작년의 한 조사에 따르면 사람들은 그들의 트윗 중 20%에서 특정 브랜드나 제품을 언급한다. 이것이 왜 트위터나 다른 소셜 네트워크가 수 백 만개의 소규모 비지니스 뿐 아니라 수 천 개의 커다란 비지니스의 눈길을 끄는 이유이다.

[Economist] World Wide Wait

World Wide Wait



Feb 12th 2010 |
From The Economist online


The faster the internet becomes, the slower it loads pages
인터넷이 빨라질수록 페이지 로드 시간은 길어진다


최근의 웹 페이지들을 불러오는데 얼마나 오래 걸리는지 신경 써 본적이 있는가? 하나의 링크를 클릭하고 기다리고, 또 기다리고, 조금 더 기다리면 내용이 찔끔찔끔 표시된다. 만약 10초 정도 이후까지 아무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참을성 없는 필자는 브라우져의 Stop 버튼을 누르고 Reload 버튼을 누른다. 필사적인 상태에서는 같은 링크를 두 번째 탭, 혹은 세 번째 탭에서까지 로드 해보고 웹 사이트의 서버에 페이지를 위한 다수의 요청을 퍼붓는다. 만약 그마저 실패한다면 넌더리를 내며 포기하고 대신 신문을 읽는다.


인터넷의 초창기 시절, 대부분의 웹 유저들이 전화선 연결에 의존하던 시절에는 브라우저는 부가적인 것이 없었으며, 웹 그래픽은 투박한 GIF 파일이었고, 8초가 사람들이 원하는 페이지가 로드 될 때까지 기다리는 시간의 최대치로 여겨졌다. 사람들을 다른 곳으로 발길을 돌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웹 디자이너들은 HTML 코드를 핵심만 남기고 가볍게 만들었고, 스타일시트 데이터나 자바 스크립트를 다른 곳에 하나의 파일로 모아 더 효과적으로 캐시할 수 있게 하고, 이미지는 적게 사용하고 더 작은 크기를 가지는 PNG나 JPEG과 같은 파일을 사용 가능하게 되자마자 즉시 수용했다. 텍스트와 비교하면 사진은 최소 1000단어와 동일한 전송 시간이 필요하다.



필자가 이코노미스트의 첫 번째 웹 사이트를 작성했던 1994년에는 일반적인 웹 페이지는 50킬로바이트 근처의 크기였고, 전화선을 이용한 모뎀은 1초에 3킬로바이트 이상을 전송할 수 없었다. “8초 규칙”을 지키기 위해서 사진은 최소한으로 사용되어서 어떤 페이지도 로딩을 시작하는데 3~4초 이상 걸리지 않았고, 완료 시 까지 20초가 걸리지 않았다. 아이러니한 것은 광대역이 널리 사용 가능하게 되어 전체적인 접속 속도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와중에도 웹 페이지를 로드 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더 늘어난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필자는 DSL 연결이 수명을 다해간다는 사실을 인정한다. 하지만 지역 전화 교환기로부터 5km 떨어진 곳에서도 광대역 접속 속도는 과거 몇 년 동안 지역 회선이 개선되고 반향 제거 코일 같은 과거의 시설들이 접속 배전함에서 제거 됨으로써 초당 65킬로바이트에서 90킬로바이트로 증가했다. 


물론, 필자는 초당 650킬로바이트 이상의 속도를 케이블을 통해 얻을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은 멋진 위성-TV 서비스를 버려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뿐 아니라 광 케이블은 내가 살고 있는 언덕까지 설치되려면 아직도 멀었다. 만약 현재의 DSL 연결을 위해 매달 내는 21불 대신 140불을 지불하면 초당 6메가 이상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될 것이다.


70배의 속도 증가에 비해서 7배의 가격 상승은 할인으로 보인다. 하지만 필자는 순수한 속도의 증가가 가차없이 엄격한 로딩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비록 못미더운 DSL 연결로도 일단 웹 사이트의 서버가 ( 그리고 그 경로에 있는 모든 컴퓨터와 광고, 그래픽, 그 외의 잡다한 레이아웃을 위해 사용되는 컴퓨터들 ) 브라우저의 요청에 반응하기 시작하면 페이지들은 충분히 빨리 보여진다. 문제는 우선 서버로부터 응답을 받아내는 것이다.


두 컴퓨터가 서로 정보를 교환하기 전에 그들은 서로 이야기하는 것에 동의해야 한다. 일반적인 경우, 이는 사용자의 컴퓨터가 호스트 컴퓨터에 요청을 보내야 하고 이에 대한 응답이 다시 사용자에게 전달되어야 한다. 오직 이 “핸드쉐이킹” 과정 이후에야 정보의 교환이 시작된다. 이 왕복의 요청과 응답에 걸리는 시간이 네트워크의 대기 시간을 결정한다.


이 대기 시간은 전자기 신호가 왕복해야 할 거리를 광속으로 나눈 것 이하로 줄어들 수는 없다. 예를 들어, 필자는 샌프란시스코의 동료로부터 400마일이 떨어진 로스엔젤레스의 집에 산다. 이론상으로는 이 두 장소를 왕복하는 최소 시간은 4.3 밀리세컨드이다. 하지만 보통 다른 컴퓨터에 “Ping”을 보낼 때, 왕복 시간은 일반적으로 700 밀리세컨드이다. 이것도 꽤나 빠른 속도이지만 얼마나 많은 시간이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서버들을 기다리는데 필요한지 보여준다.


메시지들이 꼼짝 없이 붙들려 있어야 하는 곳들이 전송되는 길 곳곳에 있다. 라우팅 서버에서는 데이터가 트래픽에 따라 목적지를 향해 서로 다르게 분배되어야 하는 큐가 점점 길어질 수 있다. 그중 최악은 ISP 쪽의 DNS라 불리는 도메인 네임 서버가 이용자가 방문하고자 하는 사이트(예를 들어 www.economist.com)를 실제 인터넷 주소(216.35.68.215)로 변환하느라 정신이 없이 바쁜 상황이다. 만약 안다면, 웹 사이트의 실제 숫자 주소를 장황한 URL 이름 대신에 시도해보라. 응답시간을 절반으로 줄일 수도 있다.


DNS 변환에서든, 라우팅 컴퓨터에서든, 아니면 호스트 서버 자체에서든 이러한 병목 현상들은 대부분 인프라가 처리할 수 있는 것 이상으로 인터넷 트래픽이 혼합되는 양상이 변해온 것에 기인한다. 한때 단지 50킬로바이트의 텍스트와 조그만 그림들로 이루어졌던 웹 사이트가 현재에는 음악, 비디오와 애니메이션으로 이루어진다. 유투브, Hulu, 아이튠즈, 비트 토런트도 이러한 문제를 겪고 있다.


이동 통신사의 사설 망에서 문제는 더 심각해진다. 통신사들은 가입자들의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페이스북을 확인하고 유투브에서 비디오를 보고, 대화형 게임을 하는 등, 요구를 맞춰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중간 범위의 스마트폰들은 보통 한 달에 100메가바이트 정보의 데이터를 소비하지만, 완벽한 브라우징 환경과 수 천 개의 다운로드형 어플리케이션을 갖춘 더 발전된 애플의 아이폰이나 모토롤라의 드로이드 같은 모델에서는 한 달에 500메가바이트 이상을 소비하는 경향이 있다. 곧 출시가 임박한 무선 모뎀을 갖춘 아이패드 같은 태블릿 컴퓨터에서는 다운로드 데이터 사용량이 한 달에 1기가바이트에 달할 수도 있다. (이번주 비지니스 섹션의 lead story 참고)


그리고 이것은 단지 시작에 불과하다. 인터넷의 상황을 보면, UCLA에 의해 운영되는 네트워크 기상 보고에 따르면 미국 기업의 웹 사이트들의 평균 지연시간은 현재 350ms 근처이다. 구글의 지연시간이 150ms, 페이스북이 285ms, 그리고 유투브가 515ms이다. 영상회의, 고해상도 실시간 비디오, 원격 수술 등 다음 세대의 인터넷 어플리케이션들이 구현되기 위해서 이러한 지연시간들은 상당한 양 짧아질 필요가 있다.


미래는 매혹적이다. Netflix는 Full-HD 사진의 해상도(1080p라 불리는, 사진에 총 1080의 선을 가진)와 5.1 채널의 입체음향을 가지는  주문형 실시간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깨끗하고, 조밀한 영상과 선명한 음질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각 회선당 1초에 1메가의 대역폭과 60ms 이하의 지연시간이 요구된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이는 투자를 상당히 증가 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엄청나게 많은 라우터를 인터넷에 추가하는 것은 일을 더 복잡하게 만들 뿐 지연시간 문제를 해결 하는 데는 별 도움이 안될 수 있다. 무엇을 하든, 그것은 사실 잠재적인 병목현상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닷컴 붐으로 잘 나가던 시절에 설치되었지만 10여 년 전 거품이 꺼진 뒤부터 거리 지하에 방치되어있는 “Dark fiber”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해결책일 것이다. 이는 다수의 보안 회사들이 조용히 진행하던 일이었다. 자동화된 주식거래에서 1밀리초를 단축하는 일이 100만불의 수익증가를 불러오는 이 상황에서 지연시간이 0에 가까운 사설 광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은 충분히 매력적이다.


사실, 구글은 이번 주 통신사들이 새로운 광 인터넷을 구축하기를 기다리며 시간을 허비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구글은 초당 100메가바이트를 50,000에서 500,000명의 사람들에 제공 가능한 낮은 지연시간을 가지는 광 네트워크를 만들 계획을 세우고 있다. 운이 좋으면, 다른 모든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들이 이를 알게 될 것이다.


영어 원문


[#M_ more.. | less.. | 

EVER noticed how long it takes for web pages to load these days? You click on a link and wait and wait, and then wait some more, for the content to trickle in. If nothing has happened after ten seconds or so, your impatient correspondent hits the browser’s stop button followed by the reload key. In desperation, he sometimes loads the link into a second or even a third browser tab as well, and bombards the website’s server with multiple requests for the page. If that fails, he gives up in disgust and reads a newspaper instead.


Back in the early days of the internet, when most web users relied on dial-up connections, browsers were crude and web graphics were clumsy GIF files, eight seconds was considered the maximum people would stick around for a page to load. To increase “stickiness”, web designers pared their HTML code to the bone, collated their style-sheet data and JavaScripts into single files for more efficient caching elsewhere on the web, used fewer graphics and embraced the PNG and JPEG picture formats, with their smaller file sizes, as soon as they became available. Compared with text, pictures really were the equivalent of 1,000 words, at least when it came to the time taken to transmit them.



When your correspondent hand-coded The Economist’s first website back in 1994, a typical web page was about 50 kilobytes in size and dial-up modems could transfer no more than three kilobytes a second. To stay under the “eight-second rule”, pictures were kept to a minimum, so no page took more than three or four seconds to begin loading and never longer than 20 seconds to complete. The irony is that, with broadband nowadays more or less everywhere, overall connection speeds have gone up by leaps and bounds, yet the time taken to load web pages seems only to have got longer.


Your correspondent is admittedly near the end of the road for a digital subscriber line (DSL) connection. But even at three miles (5km) from the local telephone exchange, the speed of his broadband connection has inched up over the past few years from 65 kilobytes a second to more than 90 kilobytes a second—as the local line has been tweaked and legacy equipment like echo-cancelling coils removed from its junction boxes.


Sure, he could get 650 kilobytes a second or more from a cable connection. But that would mean ditching his otherwise excellent satellite-TV service. Besides, optical fibre is slowly working its way up his hillside. He could soon have access to the internet at more than six megabytes a second—providing he is prepared to pay $140 a month instead of $21 for his existing DSL connection.


A 70-fold increase in speed for a sevenfold increase in price would seem a bargain. But your correspondent is not sure that more raw speed will solve the glacial loading problem. Even with his wimpy DSL connection, pages are rendered quickly enough once the website’s servers (and all the other computers along the route, plus those used to host adverts, graphics and miscellaneous layout bits) start giving his browser’s request some attention. The trouble is getting their attention in the first place.


Before two computers can exchange information, they have to agree to talk to one another. Under normal conditions, this requires the user’s computer to send a request to the host computer, which then sends a response back to the user. Only after this “handshaking” is complete can the exchange of data commence. The time taken for this round-trip of request and acknowledgment determines the network’s latency.


The latency cannot be less than the distance the electromagnetic signal has to travel divided by the speed of light. For instance, your correspondent’s home in Los Angeles is 400 miles from a colleague’s in San Francisco. In theory, then, the shortest round-trip between the two locations is 4.3 milliseconds. But if you “ping” the other computer, you’ll get a round-trip time of typically 700 milliseconds. That is still pretty quick, but it shows just how much time is spent waiting around for the various servers involved to handle the request.


There are many places along the way where the message can get bogged down. Queues can build up at routing servers that switch data packages along different routes to their destinations depending on the traffic. Worst of all, the DNS (Domain Name Server) computers used by your ISP can be overwhelmed as they try to translate the names of all the websites subscribers want to visit (say, www.economist.com) into their actual internet addresses (216.35.68.215). If you know it, try using the website’s numerical address rather than its verbose URL (Universal Resource Locator) name. That can sometimes halve the response time.


The bottlenecks—whether at the DNS translators, the routing computers or the host’s own servers—stem largely from the way the mix of internet traffic has changed faster than the infrastructure used to carry it. Websites that were once just 50 kilobytes of text and tiny pictures now come with music, video and animated graphics. YouTube, Hulu, iTunes and BitTorrent have much to answer for.


It is even worse on the mobile phone companies’ proprietary networks. Carriers are struggling to keep up with demand as subscribers use their smart-phones to check Facebook, stream videos from YouTube and play interactive games. Where a mid-range smart-phone would consume about 100 megabytes of data a month, more advanced models like the Apple iPhone or Motorola Droid, with fully fledged browsers and access to thousands of downloadable applications, tend to consume over 500 megabytes a month. With the imminent arrival of tablet computers like the iPad, which come with wireless modems, the appetite for downloadable data could hit a gigabyte a month (see the lead story in this week’s Business section).


And this is just the beginning. On the internet, the average latency for corporate websites in America is currently around 350ms, according to the Network Weather Report operated by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Google’s latency is 150ms, Facebook’s 285ms and YouTube’s 515ms. Such latencies will have to come down considerably if the next generation of internet applications, such as telepresence, high-definition video streaming and remote surgery, are to fulfil their promise.


The future is beckoning. Netflix has just announced an on-demand video-streaming service offering full high-definition picture quality (so-called 1080p, which has 1,080 lines in its picture) with 5.1-channel surround sound. Each stream being watched will require a megabyte a second of bandwidth and a latency of less than 60ms if it is to deliver crisp, pin-sharp video and pristine sound.


For the internet service providers, that means stepping up investment substantially. But adding a lot more routers to the internet would complicate matters hugely and do little to solve the latency problem. If anything, it would actually increase the number of potential bottlenecks.


A better solution might be to light up more of the “dark fibre” installed during the heady days of the dotcom boom, but left lying unused beneath the streets since the bubble burst nearly a decade ago. That is what a number of securities firms have been quietly doing. When shaving a millisecond off the time needed to execute automated trades can increase revenue by $100m, there is plenty of incentive to build private optical networks with latencies approaching zero.


Indeed, Google said this week that it was not going to hang around waiting for the telecoms industry to build the new optical web. The company is planning a low-latency fibre network that will be capable of delivering speeds of over 100 megabytes a second for communities of 50,000-500,000 people. With luck, other internet service providers everywhere will get the message.

_M#]

[Economist] 스티브 잡스와 희망의 아이패드 (Steve Jobs and the iPad of hope)

Steve Jobs and the iPad of hope
 

Jan 27th 2010 | SAN FRANCISCO |
From The Economist print edition

 

Apple’s innovation machine churns out another game-changing device
애플의 혁신 기계(역:스티브 잡스를 지칭)가 또 다른 시장의 판도를 바꿀 장치를 내놓다.

“HEROES and heroics” is one of the central themes of the current season at the Yerba Buena Center for the Arts in San Francisco, which prides itself on showcasing contemporary artists who challenge conventional ways of doing things. On January 27th the centre played host to one of the heroes of the computing industry: Steve Jobs, the boss of Apple, who launched the company’s latest creation, the iPad. Mr Jobs also has a reputation for showcasing the unconventional. He did not disappoint.

"영웅들과 영웅담들"은 어떤 일을 하는 기존의 방식에 도전하는 현대 예술가들을 소개하는데 자부심을 가진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한 Yerba Buena 센터의 현 전시 시즌 중심 주제 중의 하나이다. 1월 27일, 이 센터에서 컴퓨터 산업의 영웅들 중 하나인 애플의 CEO 스티브 잡스가 회사의 최신의 창작물 아이패드를 선보였다. 잡스는 혁신적인 제품을 선보기로 명성이 높은데 역시 우리를 실망 시키지 않았다.

The iPad, which looks like an oversized Apple iPhone and boasts a colour screen measuring almost ten inches (25cm), promises to change the landscape of the computing world. It is just half an inch thick and weighs 1.5lb (680 grams). “It’s so much more intimate than a laptop, and so much more capable than a smartphone,” Mr Jobs said of the device, which will be available in late March.

거대한 애플 아이폰 처럼 생기고 10인치에 가까운(25cm) 컬러 화면을 자랑하는 아이패드는 컴퓨터 산업에 지각 변동을 일으킬 것이라 예상된다. 그것은 단지 0.5인치의 두께에 680그램의 무게를 가졌다. "랩탑보다 더 친숙하고 스마트폰보다 훨씬 뛰어난 능력을 가졌다." 잡스는 3월 말에 판매될 이 기계에 대해서 이렇게 말했다.

The new iPad has important limitations, which critics were quick to point out. It does not have a camera or a phone and users cannot run multiple applications on it at the same time. But Apple should be able to correct such flaws in due course. Together with a host of other touch-screen “tablet” computers that are expected to reach shops over the next year or so, the iPad looks set to revolutionise the way in which digital media are consumed in homes, schools and offices.

이 새로운 아이패드는 비평가들에 의해 즉시 지적받은 몇가지 중요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카메라와 전화 기능이 없고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실행시킬 수 없다. 하지만 애플은 이러한 단점들을 적당한 시기에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내년과 그 이후에 걸쳐 발매될 수없이 많은 터치 스크린 "타블렛" 컴퓨터와 함께 아이패드는 디지털 미디어가 집과 학교, 그리고 사무실에서 소비되는 방법에 혁명을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The flood of devices is likely to have a profound impact on parts of the media business that are already being turned upside-down by the internet. The move from print to digital has not been easy for newspaper or magazine publishers. Readers have proved reluctant to pay for content on the web. Companies are unwilling to pay as much for online advertisements as for paper ones—hardly surprising, given the amount of space on offer. The iPad will probably accelerate the shift away from printed matter towards digital content, which could worsen the industry’s pain in the short term. Yet publishers hope that tablets will turn out to be the 21st-century equivalent of the printed page, offering them compelling new ways to present their content and to charge for it. “This is really a chance for publishers to seize on a second life,” says Phil Asmundson of Deloitte, a consultancy.

기기의 홍수는 인터넷에 의해 벌써 혼란스러워진 미디어 산업의 각 부분에 심대한 충격을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인쇄물에서 디지털로의 전환은 신문사나 잡지 발행사들로서는 쉽지 않았다. 독자들은 웹을 통한 컨텐츠에 돈을 지불하기를 꺼려했다. 기업체는 당연하게도 요청에 의해 제공된 종이 위 영역 만큼의 광고료를 온라인 광고에도 똑같이 지불하기를 원하지 않았다. 아이패드는 단기적으로는 산업의 고통을 심화시킬 인쇄 매체에서 디지털 컨텐츠로의 전환를 가속화 할 것이다. 하지만 출판사들은 타블렛이 그들의 컨텐츠를 보여주고 가격을 매길 수 있게 하는 매력적이고 새로운 길을 제공할 21세기의 종이 인쇄와 같은 역할을 해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 "이것은 출판사들이 제 2의 전성기를 맞이할 기회입니다." 컨설턴트사 Deloitt의 Phil Asmundson은 말했다.

It does not come as a surprise, then, that Apple has already attracted some blue-chip media brands to the iPad’s platform. During his presentation Mr Jobs revealed that the company had struck deals with leading publishers such as Penguin and Simon & Schuster. They will provide books for the iPad, to be found and paid for in Apple’s new iBooks online store. More agreements ought to be signed before the first iPads are shipped in March. Users will also be able to download applications that give them access to electronic versions of newspapers such as the New York Times, which presented an iPad app at the launch.

따라서 애플이 벌써 몇몇 우량 미디어 브랜드들을 아이패드 플랫폼으로 끌어들인것은 그리 놀랍지 않다. 잡스는 프레젠테이션 동안 팽귄이나 Simon & Schuster와 같은 주요 출판사들과 협정을 맺은 사실을 공개했다. 이 출판사들은 아이패드를 위한 책을 공급하게 되며 이들을 애플의 새로운 iBooks 온라인 상점에서 검색하고 구입할 수 있다. 첫번째 아이패드가 출시 될 3월 이전에 다른 협정들도 맺어질 것으로 보인다. 사용자는 런칭쇼에서 소개된 뉴욕 타임즈 어플리케이션 처럼 신문의 전자 버젼을 볼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Apple’s media partners no doubt have mixed feelings about dealing with Mr Jobs. Apple is now widely demonised in the music industry for dominating the digital downloading business with its iTunes store. The firm has been able to control the price of music, boosting sales of iPods but not bringing the record companies a great deal of money. That said, Apple did provide a way for the music business to make a profit online, which had hitherto eluded it. Apple’s sleek iPhone has also given plenty of content producers a platform on which they can charge for their wares.

애플의 미디어 협력사들은 분명히 잡스와 거래하는데 있어서 미묘한 느낌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애플은 그들의 아이튠즈 스토어를 통한 디지털 음원 다운로드 시장 장악으로 음악 산업계에서는 악마같은 존재가 되었다. 애플은 음악의 가격을 조정하고 아이팟의 판매를 증가 시킬 수 있었지만 음반 회사들에게 큰 돈을 벌어다주지는 못했다. 애플의 음악 산업이 온라인을 통한 수익을 낼 수 있는 길을 제공할 것이라는 말은 아직까지 지켜지지 않고 있다. 애플의 세련된 아이폰은 수많은 컨텐츠 제조사들에게 그들의 상품에 대한 과금을 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했다.

The firm’s record suggests that it will be able to make one of the computing industry’s most fervent wishes come true. Technology companies have repeatedly tried to make a success of tablets or similar devices. But the zone between laptops and mobile phones has been something of a Bermuda Triangle for device-makers, points out Roger Kay of Endpoint Technologies, a consultancy. “Products launched in there have usually disappeared from the radar screen,” he says.

애플의 역사에 비춰 볼때 그들이 컴퓨터 산업에서의 가장 강렬한 열망 중 하나를 실현시킬 수 있을 것 같다. 기술 기업들은 테블릿 PC나 유사 기기를 성공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다. 하지만 랩탑과 모바일 폰 사이의 영역은 단말 제조사들에게는 마치 버뮤다 삼각지대와 같다고 컨설턴트 사 Endpoint Technologies의 Roger Kay는 말한다.

Among them are previous generations of tablet-style computers. In the 1990s various companies experimented with the machines, including Apple. When its Newton personal digital assistant failed to take off, Mr Jobs killed the project. Tablets were once again briefly in the limelight when Microsoft’s Bill Gates predicted they would soon become people’s primary computing device—powered, of course, by his company’s software. That did not come to pass because consumers were put off by tablets’ high prices, clunky user interfaces and limited capabilities. Instead the devices, which cost almost as much as proper PCs, have remained a niche product used primarily in industries such as health care and construction.

전 세대의 테블릿 스타일 컴퓨터들이 존재했다. 애플을 포함하여 1990년대 많은 회사들이 이러한 기기의 제조 경험을 가지고 있다. 뉴턴 개인용 디지털 어시스턴트가 시장 진입에 실패했을때 잡스는 그 프로젝트를 끝내버렸다. 타블릿은 마이크로소프트의 빌 게이츠가 물론 그의 회사의 소프트웨어가 탑재 된 타블릿이 사람들이 주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장치가 될 것이라고 예측했을때 다시 한번 주목을 받았다. 그러한 일은 실제 일어나지 않았는데 왜냐하면 타블릿의 높은 가격과 조악한 유저 인터페이스, 그리고 성능의 한계가 소비자들의 구입을 꺼리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대신 거의 일반 PC에 버금가는 가격의 타블릿은 헬스 케어나 건설 같은 산업에서 주로 이용되는 틈새 시장 전용 기기가 되었다.

Why are tablets causing so much excitement these days? One reason is that innovations in display, battery and microprocessing technologies have greatly reduced their cost. Apple’s iPad is priced at between $499 for the basic version and $829 for one with lots of memory and a 3G wireless connection, bringing it within the reach of ordinary consumers. Another reason for optimism is that interfaces have improved greatly. The iPad boasts a big virtual keyboard, which pops up when needed. It also features multi-touch, meaning that two fingers can be used to change the size of a photo. Furthermore, tablets will benefit from the fact that people have become accustomed to buying and consuming content in digital form (see chart on previous page).

왜 요즘에는 사람들이 이렇게 타블릿에 열광하는가? 첫 번째 이유는 디스플레이, 베터리,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혁신으로 엄청난 가격 하락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애플의 아이패드는 기본적인 $499의 제품에서 일반 소비자 중 경제적 능력이 되는 사람들이 소유하게 될 $829의 대용량의 메모리와 3G 무선 연결을 지원하는 제품이 있다. 다른 희망적인 이유 하나는 인터페이스가 크게 향상되었다는 점이다. 아이패드는 필요할때면 나타나는 커다란 가상 키보드를 탑재했다. 또 두 손가락을 이용해 사진의 크기를 변화시킬때 사용될 수 있는 멀티 터치를 지원한다. 게다가 사람들이 디지털로 컨텐츠를 즐기고 구입하는데 익숙해 졌다는 점도 타블릿에게는 큰 이점으로 작용한다. 

All this explains why other firms are eyeing the tablet market too. Dozens of prototypes were on show at a consumer-electronics trade fair in Las Vegas earlier this month, including ones from Motorola, Lenovo and Dell. Jen-Hsun Huang, the chief executive of NVIDIA, a maker of graphics chips, reckons this is the first time he has seen telecoms firms, computer-makers and consumer-electronics companies all equally keen to produce the same product. “The tablet is the first truly convergent electronic device,” he says.

이러한 설명들이 왜 다른 회사들이 타블릿 시장을 주시하는지 설명해준다. 모토로라, 레보노, 델을 포함한 많은 회사의 프로토타입이 이번달 초에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소비자 가전 무역 전시회에 출품되었다. 그래픽 칩 메이커 NVIDIA의 CEO인 젠슨 황은 통신사, 컴퓨터 제조사, 소비자 가전 회사가 같은 제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모습은 그가 봐왔던 한 처음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타블릿은 최초의 진정한 융합 전자기기가 될 것입니다." 라고 말했다.

Netbooks and e-books
넷북과 E-북

The iPad and other tablets could shake up the computing scene. There has been some speculation that they could dent sales of low-end PCs, including Apple’s MacBook. But a more likely scenario is that they eat into sales of netbooks, the cheap mini-laptops that are used mainly for web surfing and watching videos. Netbooks have been on a roll recently, with global sales rising by 72% to $11.4 billion last year, according to DisplaySearch, a market research company. That makes them a tempting target.

아이패드와 다른 타블릿들은 컴퓨팅 산업 전체를 흔들 수 있을 것이다. 애플의 맥북을 포함한 저가형 PC 시장을 잠식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측이 다수 나와있다. 하지만 더 가능성 있는 시나리오는 웹 서핑이나 비디오를 보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미니 랩탑인 넷북 시장을 잠식하게 되는 것이다. 넷북 시장은 시장 조사 기관 DisplaySearch에 따른 작년 전세계 판매량이 72%나 증가해 114억불에 이르는 등 호조를 보이고 있다. 이 시장은 매력적인 목표가 될 수 있다.

Apple’s new device also poses a threat to dedicated e-readers such as Amazon’s Kindle, though these will probably remain popular with the most voracious bookworms. Apple’s long-expected entry into the tablet market has already forced e-reader firms to consider making their devices more versatile and exciting. “You will see more readers using colour and video over the next five years,” predicts Richard Archuleta of Plastic Logic, which produces the Que proReader. And more makers of e-readers may mimic Amazon’s recent decision to let third-party developers create software for its line of Kindles.

대부분의 닥치는대로 읽어치우는 책벌레들에게 아마존의 킨들 같은 e-reader 전용의 기기가 여전히 인기 있겠지만 애플의 새로운 기기는 이를 위협하고 있다. 애플이 오랜 예상대로 타블릿 시장에의 진출하자 e-reader 기업들은 그들의 기기를 더 다목적의, 재미있는 기기로 만들기 위한 노력를 시작했다. "여러분은 향후 5년 동안 이러한 리더에서 컬러 화면과 비디오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Que proReader를 생산하는 Plastic Login의 Richard Archuleta는 예상했다. 그리고 다른 더 많은 e-reader 메이커들은 아마존의 Third-party들을 활용해 그들의 Kindle 라인 소프트웨어를 만들게 하려는 최근의 결정을 따라 할 것이다. 

Book publishers are quietly hoping that Apple’s entry into e-books will help to reduce the clout of Amazon: the Kindle has 60% of the e-reader market, according to Forrester, a research firm. They are also excited by the opportunities that tablets offer to combine various media. Bradley Inman, the boss of Vook, a firm that mixes texts with video and links to people’s social networks, believes the iPad will trigger an outpouring of creativity. “Its impact will be the equivalent of adding sound to movies or colour to TV,” he says.

출판사들은 애플의 e-book 시장에의 진출이 아마존의 영향력을 줄여줄 것으로 조용히 기대하고 있다. 연구기관 Forrester에 따르면 킨들은 60%의 e-reader 시장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또한 테블릿이 다양한 미디어를 하나로 합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는데 흥분하고 있다. 텍스트와 비디오 그리고 사람들의 소셜 네트워크 링크를 하나로 묶어주는제품을 만드는 회사 Vook의 사장 Bradley Inman은 아이패드가 창조성의 폭발을 촉발 할 것이라 믿는다. "그것의 영향력은 마지 영화에 소리가 덧붙여지거나 TV가 컬러가 되는 것과 같을 것입니다." 그가 말했다.

Newspaper and magazine publishers are also thrilled by tablets’ potential. Their big hope is that the devices will allow them to generate revenues both from readers and advertisers. People have proven willing to pay for long-form journalism on e-readers. But these devices do not allow publishers to present their content in creative ways and most cannot carry advertisements. Skiff, a start-up spun out of Hearst, is a rare exception to this rule. Its 11.5-inch reader is large enough to show off all elements of a magazine’s design and accommodates advertising too.

신문과 잡지 발행사들도 마찬가지로 테블릿의 잠재력에 흥분하고 있다. 그들의 커다란 희망은 이러한 기기들이 그들로 하여금 독자와 광고주 모두로부터 수익을 거둘 수 있게 하리라는 것이다. 사람들은 e-reader를 통한 장문의 글들에 비용을 지불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기들은 출판사들에게 그들의 컨텐츠를 독창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며 대부분 광고를 실을 수도 없다. Hearst의 최초의 제품 Skiff는 이러한 법칙의 매우 드문 예외이다. Hearst의 11.5인치 리더는 잡지 디자인의 모든 요소들을 다 보여줄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고 이에는 광고도 포함된다.

Apple’s arrival in the tablet market means that publishers will have to develop digital content for these devices, as well as for e-readers and smart-phones. Many will prove unable or unwilling to do so themselves. That may boost firms such as Zinio, which has developed a digital-publishing model called Unity. This takes publications’ content, repurposes it for different gadgets and stores it in “the cloud”, the term used to describe giant pools of shared data-processing capacity. Users pay once for the content and can access it on various Zinio-enabled devices, increasing the chances that it will be consumed.

애플의 타블릿 시장 진출은 출판사들의 디지털 컨텐츠를 타블릿류의 기기 뿐 아니라 e-reader나 스마트폰 용으로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당수의 출판사들은 그럴 수 없거나 별로 내켜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Zinio 같은 Unity라 불리는 디지털 출판 모델을 개발하는 회사에 활기를 불어 넣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출판물의 내용을 다른 장치들을 위해 변환 한 후 "cloud"라 불리는 공유되는 데이터 처리 능력의 거대한 풀 안에 저장한다. 사용자들이 한번 컨텐츠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면 다양한 Zinio가 가능한 장치들에서 접근 가능하며, 이는 컨텐츠가 소비될 기회를 증가시킬 것이다.

 Very nice, but where’s the off switch?
멋져. 하지만 전원은 어떻게 끄지?

Apple has other ambitions for the iPad. It hopes it will become a popular gaming machine and has designed the device so that many of the games among the 140,000 apps available for other Apple products will run on it straight away. The company has also revamped its iWork suite of word-processing, spreadsheet and presentation software for the iPad in an effort to ensure that the new device will catch on with business folk.

애플은 아이패드를 통해 또 다른 야심을 드러낸다. 애플은 아이패드가 인기있는 게임 기기가 되기를 원하고 다른 애플 제품에서 사용 가능한 140,000개의 어플리케이션 중 많은 수의 게임이 바로 구동 가능하도록 아이패드를 디자인 했다. 애플은 또한 아이패드 용 워드 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프레젠테이션 소프트웨어 모음인 그들의 iWork를 개선해서 직장인들에게도 인기를 얻도록 노력하고 있다.

Apple’s shareholders are no doubt hoping that the iPad will live up to its billing as a seminal device in the history of computing. They have already seen the company’s share price soar. Defying the recession, on January 25th Apple announced the best quarterly results in its 34-year history, with revenues rising to $15.7 billion and profits to $3.4 billion—an increase of 32% and 50% respectively over the previous year. They will be keeping their fingers crossed that the iPad turns into another billion-dollar hit. Whether or not that turns out to be the case, Mr Jobs has already proven heroic enough to merit a portrait on the Yerba Buena Center’s walls.

의심할 여지 없이 애플의 주주들은 아이패드가 광고처럼 컴퓨팅 역사에서 하나의 전기를 이룰 수 있기를 바란다. 그들은 벌써 애플의 주가가 치솟을 것이라고 본다. 불경기에 맞서, 애플은 수익이 157억불에 달하고, 순이익이 34억불로 작년 한해 각각 34%, 50%가 증가하는 34년 역사 상 최고의 분기 성과를 이루었다고 1월 25일 발표했다. 주주들은 아이패드가 또 다른 수십억불의 히트를 이뤄줄 것을 간절히 바랄 것이다. 그 소망이 이루어지건 말건, 잡스는 벌써 그가 충분히 Yerba Buena 센터의 벽에 초상을 남길 영웅이라는 사실을 증명했다.

[Economist] Babelicious!

Babelicious!

Jan 25th 2010
From Economist.com

Bigger languages are also simpler ones
널리 퍼진 언어가 더 단순한 것이다.

WHY do some languages drip with verb endings, declensions that show how a noun is used, and other grammatical bits and pieces, while others rely on word order and context? The former category tends to include languages spoken by small groups in isolated settings like the Amazon or New Guinea. The latter include such languages as English and Mandarin.

왜 어떤 언어들은 파생 동사, 명사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표시하는 격 변화, 그 외의 다른 문법의 의미 조각들로 가득한 반면, 다른 언어는 단어의 순서와 문맥에 의지하는 것일까? 전자에는 아마존이나 뉴기니 같은 고립되어 있는 소규모 집단에서 통용되는 언어가 주로 속한다. 후자에는 영어나 중국어가 포함된다.

This fact has made scholars wonder if languages simplify as they spread. Researchers have wondered if second-language learning of such conquering languages as English have led them to shed grammatical baggage. Many features of grammar are, in linguistic terms, “overspecified”—meaning redundant. The “s” on the end of “the two boys” is overspecified, since “two” shows that more than one boy is concerned. So, the theory goes, as adults learn languages, with abilities that have withered compared to children’s native acquisition, the dispensable bits are dispensed with. But some linguists have simply assumed that all languages get simpler over time, or that few social factors correlate with complexity.

이 사실은 학자들에게 언어는 널리 퍼질수록 단순화 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의문을 가지게 했다. 연구자들은 만약 영어와 같은 널리 퍼진 언어를 제2외국어로 배우는 것은 그들로 하여금 문법의 무거운 짐을 벗어던질 수 있게 하지 않을까? 하는 의문을 가져왔다. 많은 문법 요소들은 언어학에서 쓰이는 말로 표현하면 "overspecified" 즉, 불필요하다. "the two boys"의 마지막의 "s"는 불필요하다. 왜냐하면 "two"가 벌써 하나 이상의 boy를 대상으로 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이론처럼 어린이의 자연 습득 능력을 이미 잃어버린 성인이 언어를 학습한다면 그다지 중요치 않은 요소들은 생략될 수 있다. 하지만 어떤 언어학자들은 단순히 모든 언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순해지거나, 사회적인 요소들(역:널리 쓰이는 등의)은 복잡도에 별 영향이 없다고 가정한다.

As they describe in the Public Library of Science, Gary Lupyan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and Rick Dale of the University of Memphis set out to find some more solid evidence that expansion simplifies language. They took the 2,236 languages in the World Atlas of Language Structures and looked for correlations with the number of speakers of each language, the size of the area in which it is spoken, and the number of neighbouring languages. They looked for correlations with the languages’ inflectional morphology, meaning the mostly obligatory prefixes, suffixes and other parts packed into individual words that carry specific meanings.

펜실베니아 대학의 Gary Lupyan와 멤피스 대학의 Rick Dale은 Public Library of Science에 그들이 묘사한 대로 언어가 확장으로 인해 단순해 진다는 확실한 증거를 더 찾기 위한 연구를 시작했다. "World Atlas of Language Structures"에 있는 총 2,236개의 언어를 가지고 각 언어 별 사용 인구, 언어가 사용되는 영역의 크기, 유사한 언어의 수의 연관 관계를 찾기 시작했다. 그들은 또한 대부분 의무적으로 주어지는 접두사, 접미사, 그 밖의 각 단어 속의 다른 특별한 의미를 나타내는 부분인 언어의 굴절적 형태간의 관계를 찾았다.

They found clear evidence that big, spreading languages have fewer of these features. They have fewer case-markings on nouns. Verbs are less likely to vary with person, place, time and so forth. Mandarin, for example, has no obligatory past tense at all; an extra word can come after the verb to indicate it happened in the past, or this can be left to context. By contrast, Yagua, spoken in Peru, has an obligatory five-way distinction. Past-tense verbs must show whether the event happened a few hours ago, a day before, a week to a month ago, and so on.

그들은 방대하고, 널리 퍼진 언어 일수록 이러한 특징들을 덜 가지고 있다는 확실한 증거를 찾아냈다. 이러 널리 퍼진 언어에서는 명사의 격 표시가 비교적 적다. 동사는 사람, 장소, 시간 등등에 따라 다양하게 될 가능성이 낮다. 예를 들어 중국어는 의무적인 과거 시제가 전혀 없다. 동사 다음에 오는 추가적인 단어가 이것이 과거에 일어났음을 말해주거나, 단순히 문맥 상에서 이해하도록 내버려 둘 수도 있다. 반면, 페루에서 쓰이는 "Yagua"어는 의무적인 5가지 구분이 있다. 과거 시제 동사는 그 사건이 몇 시간 전에 일어났는지, 하루 전인지, 한 주에서 한 달 전인지 등을 표시해야 한다.

The number of speakers of each language correlated best with morphological complexity, better than the area the language is spread over or the number of neighbours. This makes sense because a language with a large population of speakers has probably already been learned by many non-natives in the past. A language with many neighbours today would be, by this rationale, more likely to become simpler in the future, if the language spreads. Of course, languages in families share certain features, but Dr Lupyan and Dr Dale found that their results were significant even when language family and region were factored out.

각 언어별 사용 인구는 유사 언어 수나 언어가 쓰이는 지역보다는 형태적 복잡도와 가장 큰 관계가 있다. 사용 인구가 많은 언어는 아마도 과거에 다수의 네이티브가 아닌 사람들에게 학습되었을 것이므로 이는 타당성이 있다. 현재 유사 언어가 많은 언어가 더 널리 퍼진다면 이 이론에 의해 미래에는 그 언어가 더욱 단순화 될 가능성이 높다. 물론 같은 종의 언어는 일정 특성을 공유하지만 Lupyan 박사나 Dale 박사는 언어의 종이나 지역을 제외하더라도 그 결과가 심대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This leaves the question of why languages would become complex at all. Dr Lupyan and Dr Dale offer several hypotheses. One involves the different needs of child and adult learners. Complex morphology is especially hard for adults to learn, but it may help children, as the redundancy reduces the need for non-linguistic factors for understanding. (Las casas blancas tells a Spanish-speaking child three times that there are multiple white houses.) An alternative hypothesis is that complex morphology improves economy and clarity of expression, something that is desirable so long as it is not too difficult to learn. A final possibility is simply that smaller language groups more faithfully transmit the grammar to their children, overspecification and all, even if it has no use.

이는 왜 언어가 조금이라도 복잡해지는 이유에 대한 의문을 남긴다. Lupyan 박사와 Dale 박사는 몇 가지 가설을 제시한다. 그 중 하나는 언어를 배우는 어린이와 어른의 서로 다른 필요성을 지적한다. 복잡한 형태는 특별히 어른이 배우기 어렵지만 어린이에게는 도움을 되어, 이러한 필요 없는 부분이 언어학적이 아닌 부분을 이해해야 하는 필요를 감소 시킬 수 있다. 다른 가설 한가지는 복잡한 형태가 배우기 너무 어렵지만 않다면 표현의 경제성과 명료성을 향상 시켜 준다는 것이다. 마지막 가능성은 단순히 소규모의 언어를 공유하는 그룹이 비록 필요없는 것이라도 중복된 것을 포함한 전체 문법을 더 충실하게 어린이들에게 가르친다는 것이다.

One thing is clear. Linguists have long known, despite the prejudices of those in rich societies, that “simple” people with primitive technologies do not speak simple languages. By the definitions used here, the native languages of North America and South America are the most complicated in the world, while Europe’s are the simplest.

한가지는 확실하다. 언어학자들은 부유한 나라들의 편견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원시적인 기술을 가진 단순한 사람들이 단순하지 않은 언어를 말한다는 것을 알았다. 여기에서 사용된 정의에 의해, 유럽의 언어들이 아주 단순한 것에 비해 북미와 남미의 네이티브 언어들은 세계에서 가장 복잡하다.

[Economist] 집에서도 아바타를 관람하기 (Avatar in the home)

Avatar in the home


Jan 8th 2010
From Economist.com


Once again, 3D television is poised to enter the living room
다시 한번, 3D TV가 거실로 들어올 준비를 하고 있다.


EVERY decade or so, your correspondent—ever the wishful thinker—gets carried away by industry hype about 3D television being just around the corner. Each time, a buzz goes round about some new enabling technology which, better than anything seen before, will really make it happen now, honest. And each time, the fad fizzles after a few years as manufacturers fail to deliver on their promises because of glitches in the hardware, shortages of programming material worth watching, and viewers who find wearing dorky spectacles to perceive the sense of depth all too much of a chore.


매 10년정도 마다, 항상 희망적으로 생각하는 필자는 3D TV가 곧 현실화 될 것이라는 산업계의 떠들썩한 선전에 흥분했다. 매번, 예전에 선보인 적 없는 새로이 가능하게 된 이 기술이 정말 현실화 될 것이라는 루머가 끊임없이 있었다. 그때마다, 그 열광은 몇년 계속되지 못했는데 왜냐하면 하드웨어의 기술상 문제나, 3D를 통해 볼만한 프로그램의 부족, 그리고 사용자들이 멍청해보이는 안경을 써야만 그 깊이를 느낄 수 있다는 것이 귀찮다고 느끼는 것들 때문에 제조사들이 그 약속을 지키는데 실패했기 때문이다.


The latest wave of enthusiasm for 3D television started at last year’s Consumer Electronics Show (CES)—the annual gadget-fest held in Las Vegas during the first week of January—with equipment makers confidently predicting they would sell millions of “3D-ready” television sets during 2009 (see “In your face”, January 16th, 2009). Though that did not exactly happen, they are back again at CES this week predicting much the same, only more so.


가장 최근 3D TV에 대한 열광이 시작된 것은 작년 CES(Consumer Electronics Show)에서 였고, 이는 매년 열리는 가전기기 축제로 작년 1월 첫째 주에 라스베가스에서 가전 제조업체들의 2009년 수백만대의 3D TV를 팔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에 찬 예상과 함께 개최되었었다. 하지만 예상은 빗나갔고, 그들은 이번 주 개최된 CES에 다시 돌아와 대부분 비슷하지만, 약간 상향된 예상을 하고 있다.



Last year, fewer than 1m of America’s 115m homes with TVs bought sets capable of showing 3D content—perhaps because there was next to no 3D content for them to watch. Undeterred, the Consumer Electronics Association reckons some 4.3m 3D-compatible sets will be sold this year. By 2013, it expects them to account for 25% of all television sales. That may be a bit optimistic, if the introduction of high-definition television (HDTV) is any guide. It took seven years for sales of those in America to reach the “maturity level” of 30m units a year.


작년, 미국의 총 1억 1천 5백만 가구 중 고작 백만도 안되는 가구만 3D 컨텐츠를 보여줄 수 있는 TV를 구매했다. 이는 아마도 볼만한 3D 컨텐츠가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이에 좌절치 않고 소비자 가전 협회는 올해 약 4백3십만대의 3D TV가 팔릴 것으로 예상했다. 2013년까지 모든 TV 판매의 25%를 점유할 것으로 기대했다. 고해상도 TV(HDTV)가 도입되었을 때를 참고해보면 이는 다소 낙관적인 예상으로 보인다. HDTV도 미국 내의 시장이 성숙된 단계로 볼 수 있는 1년에 3천만대가 팔릴때까지 7년이 걸렸다.


For sure, the consumer-electronics industry needs some new technological twist now HDTV has gone mainstream, with prices beaten down below the $1,000 mark. In the decade since they were introduced, HDTV sets have gone from being expensive novelties for early adopters with deep pockets to something most households can readily afford. In wealthier parts of the world, practically anyone who was likely to buy an HDTV set now has one.


소비자 가전 산업에서 1000달러 이하로 가격이 떨어지면서 주류에서 사라져버린 HDTV를 대체할 새로운 기술이 필요한 것은 확실하다. 처음 소개된 이후 지난 십년 동안 HDTV은 돈 많은 얼리 어답터들을 위한 비싸고 신기한 물건에서 대부분의 가정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것으로 바뀌었다. 세계의 부유한 나라에서는 누구나 원하면 쉽게 구입할 수 있는 현실이 되었다.


The latest hype about 3D in the home is aimed at getting consumers to ditch their recent acquisitions in favour of something bigger, better and more profitable for manufacturers than the cut-price television sets being sold today. Early 3D televisions are expected to cost $2,000 and up—and that is without counting the cost of the special glasses.


집에서의 3D 환경에 대한 가장 최근의 선전은 소비자들이 최근에 구입한 물건들을 버리고 더 크고, 나은, 현재 할인된 가격의 TV가 팔리는 것보다는 제조사에게는 더 이익이 되는 것을 새로 장만하는 것을 노리고 있다. 초기의 3D TV는 특수 안경을 제외하고 2000달러 이상으로 예상되고 있다. 


As in the cinema, the promise of high-definition, three-dimensional (HD3D) television is all about providing a more immersive, true-to-life experience. This is done in the cinema by projecting two slightly different views onto the screen. In combining them, the brain adds a sense of depth—just as it does naturally with the different perspectives seen by the left and the right eye.


영화관에서 처럼, 고해상도 3D(HD3D) TV는 더 매혹적이고 현실감있는 경험을 제공해 줄 것을 약속하고 있다. 이는 영화관에서는 2개의 서로 다른 시점에서의 영상을 스크린에 투사해서 이루어진다. 이 두 시점을 하나로 합쳐 뇌에서 자연적으로는 좌우 눈이 서로 다른 시점에서 보고 있는 것 같은 깊이를 느낄 수 있게 해준다.


You still have to wear nerdish spectacles to get the effect. But the complaints of nausea and headaches that were common with 3D movies in the 1950s have now, largely, been licked. Instead of having cardboard “anaglyph” spectacles with a crude red filter for one eye and cyan for the other, the increasingly popular 3D system developed by RealD of Beverly Hills, California, relies on circularly polarised light—with one lens polarising the light to the left, and the other to the right. Polarisation is also used in megascreen IMAX theatres. In this case, however, the light is polarised in a different linear direction for each eye, so as to match the polarisation of the two side-by-side projectors used to show the film.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우스꽝스러운 안경을 써야한다. 하지만 1950년대에는 일반적이었던 구역질이나 두통에 대한 불평들이 현재는 상당부분 없어졌다. 빨간색 필터 그대로 한쪽 눈에, 다른 쪽에는 청록색을 붙여 마분지로 만든 장난감스러운 안경을 쓰는 것 대신, 최근 캘리포니아의 비버리 힐즈에 위치한 ReadD 사에 의해 개발되어 인기를 얻고 있는 3D 시스템은 한 렌즈는 빛을 왼쪽으로 편광 시키고 다른 쪽은 오른 쪽으로 편광 시키는 순환적인 편광 빛을 이용한다. 편광은 IMAX 극장에서의 거대한 스크린에서도 사용된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빛이 각 눈의 서로 다른 선형 방향으로 되어 두개의 나란한 프로젝터의 편광이 서로 맞추어져 필름을 상영할 수 있게 된다.


Unlike 3D movies such as “Beowulf”, “Up” and, most recently, “Avatar”, which use “passive-polarising” spectacles costing a few dollars a pair, watching 3D on a television set requires “active-shutter” glasses that blink the left and right lenses on and off alternately, in sync with an infra-red signal from the TV set. At present, such battery-powered spectacles cost around $100 a pair. Invite friends over to watch the occasional 3D movie or a football match, and you will need to fork out a further $500 or so.


“베오울프”나 “Up”, 그리고 가장 최근의 “아바타”에 이르기까지 몇 달러에 불과한 “수동적 편광법” 안경을 사용하는데 반하여, 3D를 TV에서 보기 위해서는 TV로부터의 적외선에 맞추어 왼쪽, 오른쪽을 동시 하나씩만 깜빡여 주는 “능동적 셔터” 안경이 필요하다. 현재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이러한 안경은 하나에 100달러 근처이다. 드문드문 나오는 3D 영화나 풋볼 게임을 친구들을 초대해 같이 보기 위해서는 500달러 혹은 그 이상을 지불해야 한다.


Attempts to use the much cheaper system of polarising glasses for watching HD3D television have not been a success. Unlike 3D in the cinema, the brightness and clarity of the small picture on a TV screen can suffer because the separate images for the left and right eyes tend to bleed into one another. Such “crosstalk” does not occur to anything like the same extent with active-shutter glasses because they close one lens while the other is open. Also, a television screen that is to be used with cinema glasses needs a special polarising coating, which adds further to its cost.


HD3D TV를 보기 위해 훨씬 더 싼 편광 안경을 사용하기 위한 시도는 아직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영화관에서의 3D와는 다르게, 좌우 눈을 위해 분리된 두개의 영상이 서로를 방해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작은 TV화면에서 밝고 선명함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한 “혼선” 현상이 “능동적 셔터” 안경에서는 그만큼 발생하지는 않는데, 이는 한쪽 렌즈가 열려있을 때는 반대편을 닫아버리기 때문이다. 또한, TV 화면에는 관람용 안경을 사용하기 위해 특별한 편광 코팅을 해야하는데 이로 인해 가격이 상승한다.  


How to get rid of those pesky glasses altogether? All the big television makers, as well as a number of national laboratories, are experimenting with “autostereoscopic” displays. Several flat-panel systems that create a perception of depth without the need for special head gear have been invented. One ambitious approach uses eye-tracking gear to adjust the stereoscopic pair of images automatically, so that the viewer continues to see the 3D effect even when moving his head.


이런 성가신 안경들을 어떻게 없앨수 있을까? 모든 거대 TV 제조사들 뿐 아니라 많은 국립 연구소들은 자동 입체 화면을 실험 중이다. 여러 장의 평판 시스템들을 이용해 머리에 뒤집어 쓰는 특수한 장치가 필요없이 깊이를 느낄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 개발 중이다. 하나의 대담한 접근 방법으로 시선을 쫓아가는 장치를 이용해서 입체로 된 영상들을 자동으로 조절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있다. 따라서 관찰자는 머리를 움직일때도 계속 3D 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


A more common solution is to use either a lenticular lens arrangement (an array of lens that magnify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head) or a parallax barrier (a layer of material in front of the screen, with a series of slits that let each eye see a different set of pixels). In either case, the viewer has to adjust his head-position carefully to get the effect of depth. Both systems offer multiple sweet spots, which allows several people to watch the screen simultaneously. Unfortunately, both cause eye-strain and headaches when used for any length of time. Even so, Sir Howard Stringer, Sony’s chief executive, expects spectacle-free HD3D to be available commercially within three to five years. He may be right, but your correspondent wouldn’t put money on it.


보다 일반적인 방법으로 볼록 렌즈들의 배열 (머리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르게 확대 시켜주는 나열된 렌즈들) 이나 변위 장벽(?) (각각의 눈이 다른 상을 보게하는 위치 차가 나타나는 화면 앞의 물체들의 층) 이 있다. 양쪽 모두, 관찰자는 깊이를 느끼기 위해서 머리의 위치를 신중하게 조절해야 한다. 두 시스템 모두 복수의 관람 위치를 제공하는데, 이는 여러 사람들이 동시에 하나의 화면을 볼 수 있게 한다. 불행히도, 양쪽 모두 오랜 시간 시청했을 경우 눈의 피로와 두통을 유발한다. 그럼에도 소니의 CEO 하워드 스팅어는 안경이 필요없는 HD3D TV가 향후 3년에서 5년 이내에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 그가 옳을지도 모르겠지만, 필자는 이에 돈을 걸지는 않을 것이다.


More immediately, a bigger problem facing the set-makers is ensuring there is enough 3D material to watch. With Hollywood studios making only a handful of 3D feature films a year, the bulk of the programming will have to come from synthesised versions of existing 2D movies and shorter features, along with sporting events. None of that is cheap. Converting a movie into a 3D format ready for high-definition broadcasting costs millions of dollars. As for sporting events, there is currently only one truck in the whole of America that is kitted out for covering live outdoor events in HD3D.


TV 제조사들에게 닥친 더 긴급하고 커다란 문제는 볼만한 3D 영상들을 많이 확보하는 것이다. 헐리우드에서는 1년에 고작 몇 편정도의 3D 영화를 만들고 있고, 많은 수의 프로그램들이 이미 있는 2D 영화나 스포츠 같은 더 짧은 것을 합성해서 만들어져야 한다. 이들도 싼값에 확보할 수는 없다. 하나의 영화를 HD 방송을 위한 3D 포맷으로 바꾸는데도 수백만 달러가 든다. 스포츠 이벤트를 위해 야외 HD3D 중계 장비를 갖춘 트럭은 현재 미국 전체에 단 하나만 존재한다. 


Nevertheless, the venerable sports network, ESPN, plans to start a new HD3D channel this summer in time for the World Cup in South Africa. All told, it plans to show 85 live sporting events in its first 12 months. In between these showings, the network will go off the air. More ominously, it has made no promises about continuing the HD3D service beyond its first year.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통의 스포츠 네트워크 ESPN은 새로운 HD3D 채널을 이번 여름 남아공 월드컵에 맞추어 시작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첫 12개월 동안 모두 합쳐 85개의 라이브 스포츠 중계를 방영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중계 중간에는 방송 송출을 중단할 예정이다. 더 안좋은 소식은 첫해 이후에 HD3D 서비스를 계속할지 약속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Another hang-up is that HD3D uses up to four time the bandwidth of ordinary high-definition television—which is itself a bandwidth hog. For the cable operators responsible for piping the networks’ shows into people’s homes, 3D television is not their most pressing issue. Most are still trying to find enough bandwidth for all the high-definition channels that are currently available.


또 다른 골칫거리는 HD3D가 대역폭을 엄청나게 잡아먹는 일반적인 HDTV의 4배에 달하는 대역폭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방송국의 프로그램들을 고객의 집까지 보내주는 책임을 가진 케이블 회사에게는 3D TV는 그리 긴급한 사항이 아니다. 대부분 현재 가능한 수준의 모든 HD 채널들에 대한 대역폭을 확보하는데 열중하고 있다. 


Your correspondent has a sneaking suspicion that, if and when 3D television is finally ready for prime time, it will arrive not by courtesy of cable, satellite or over-the-air broadcasting, but via the internet—perhaps, if things go well, in another decade’s time.


필자는 은밀한 예감 하나를 가지고 있는데, 3D TV가 황금시간 대를 위한 준비를 마친다면, 그것은 케이블 업체들의 협조나, 위성, 무선 방송을 통해서가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서 일 것이고 아마 모든 것이 착착 진행된다면 이 다음의 10년동안 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