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

어둠은 그 속에 감추어진 미지(未知) 때문에 공포스러운 것이다. 이 공포는 우리를 그 어둠 속으로 내딛지 못하게 만든다. 알 수 없기 때문에 우리는 움직이지 않고,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현재에 옭매여 살아가는 것이다.

우리는 움직이고, 여행하고 싶기 때문에 지식을 갈구(enlighten)한다. 세상의 어둠 속으로 한 걸음을 내딛고 싶은 것이다.

공부는 얼마나 해야 할까?

대학원에 입학하면, 공부 정도는 누가 시키지 않아도 스스로 이 책, 저 책 찾아본다거나, 혹은 논문을 뒤적뒤적 거린다던가 하는 끝없이 원하는 방향을 추구 할 수 있을 줄 알았는데, 현실은 좀 다르다. 아직 1학기라 그런지 몰라도 2과목을 듣는 수업의 강도가 학부때의 전공 12학점에 맞먹는 -_-; 세기이다. 읽고 읽어도 헷갈리고, 외우고 외워도 까먹는, 무한의 시간이 투입되어야 하는 블랙홀 같은 과목들은, 그야말로 상상하던 대학원 생활과는 조금 다른 경험을 하게 해주고 있다(!). 아, 도대체 공부를 얼마나 더 해야 하는 건가.


게다가 나는 다른 학부 출신이라 학부를 대표한다는 뭐랄까 사명감이랄것도 묘하게 느끼고 있기 때문에 “대학원 학점은 중요하지 않아 적당히 하고 자기 원하는거 해” 라는 주위의 말과 “그래도 중간 이상은 가야 어디가서 손해보지 않지?”라는 마음속의 불안이 뒤죽박죽이 되어서 그 타협점을 찾기가 어렵다. 영어 공부도 열심히 해야겠다는 다짐도 있고, 또 프로젝트도 신경써야 하고, 그 외 잡일도 여러가지. 정말로 관리! 관리!를 머리속에서 뱅뱅 맴돌게 하고 있다.


돌이켜보면 이런 생각이 처음은 아니다. 아주 오래된 기억을 천천히 살펴보면 도대체 공부는 얼마나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들었던 적이 있었던 것 같다. 아마 내가 초등학교 2학년 이었을 때였는데, 흔히들 All 100 이라고 칭하는 전과목 만점을 한번 받았던 기억이 있다. (최초이자, 마지막이었다) 산수, 국어, 사회 기타 등등 다 100이라고 빨간색으로 씌어진 시험지를 하나씩 받을 때마다 점점 기분이 좋아져서, 방과 후에 시험지를 들고 집으로 뛰어가서 마구 자랑했던 그런 기억 말이다. 다 100점이니 이제 더 이상 공부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해서 즐거웠지만, 어머니는 계속 열심히 해서 앞으로도 100점을 받을 수 있어야 된다고 말씀하셨다. “도대체 공부는 언제까지 계속해야 하는거야?”


아버지께서 그 때인지, 언젠가 했던 말씀을 나는 이 궁금증에 대한 정답으로 머리 속에 가지고 있는데, 그 정답이란.



“내가 하고 싶은 일이 생겼을때, 공부 때문에 포기하지 않아도 될 만큼만 공부를 해라.”


스포츠 선수가 박사학위까지 딸 필요는 없고, 가수로 평생을 가고 싶은 사람이 논문을 쓸 필요도 없는 일이고 말이다. 그런데 사실 무서운 것은 무엇인가를 하게 되면 그 보다 더 높은 수준의 일을 하고 싶어 하는 것이 사람의 당연한 속성인지라, 언제나 공부에 목마르게 되는 것이 당연하다는 것이고, 결론적으로 저 말대로 실천하려면 평생 공부와 함께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힘들때마다 책을 보고 이해하고 노력하는 것은 더 높은 지식의 성을 쌓기 위해서 평생을 해야 할 일이 아닌가 하고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중이다. 잘은 안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