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과 공포의 양면에서

아이가 부쩍 아빠, 엄마를 찾기 시작했다.

아이가 요즘 즐겨보는 동화책의 엄마, 아빠에서 떨어져 혼자 세상을 헤쳐나간다는 내용이 원인일 것이라 생각된다. 그 계기야 어떻든 아이는 아빠, 엄마와 헤어질 수 있다는 것, 또 그 헤어짐이 영원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한 공포를 느끼는 것 같다. 그래서 아침마다 출근하는 아빠를 보면서 울고, ‘아빠 엄마랑 오래오래 같이 살자’는 60살 먹은 할아버지가 할법한 말을 자주 한다. 그 아이는 현재를 ‘행복’이라는 말로 표현하진 않겠지만, 이 따뜻함과 안온함의 시간이 영원히 계속 되기를 아주 간절히 바라는 것 같다.

사실 이것은 어른인 나에게도 아주 오래전부터 묻어둔 공포이다. 결혼을 하고, 아이가 생긴 이후에 나의 존재는 가족과의 관계와 동일한 것이 되어 버렸다. 오직 나 혼자만이 존재하는 나는 약 40년을 거슬러 올라가 태어날때의 벌거숭이로 돌아가거나, 약 40년을 미래로 가 모든 것을 잃기 직전에나 상상이 가능하다. 이미 나는 가족과의 관계 속에서 존재하지 홀로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 어쩌면 혼자 존재할지도 모르지만 그렇게 상상할 수도 없고, 상상하는 것도 괴로운 것일 수도 있다.

가족과의 관계가 나라는 존재가 되어버린 이후, 가족을 잃는다는 상상, 혹은 이 우주에서 이 관계들이 영원하지 않다는 현실은 나의 죽음을 넘는 두려움이 되었다. 볼을 부비고, 살을 맞대고, 같이 웃고, 사진을 찍고, 즐거운 대화를 하고, 머리카락의 냄새를 맡는 것을 ‘사랑’이라는 말로, 사랑하기 때문에 하는 행위로 표현한다. 하지만 반대로 그 ‘관계’를 잃는다는 엄청난 공포를 현재, 이 순간 이나마 잠시 잊기 위한 간절한 행위이기도 하다.

세상 모든 것이 그런 것처럼 무언가를 가졌을 때의 엄청난 기쁨은 그것을 잃어버릴지도 모른다는 엄청난 공포이기도 하다. 나의 삶이 생겼을 때부터, 아이가 생겼을 때부터 이러한 기쁨과 공포의 동전이 주어진 것처럼 느껴진다. 또 이 동전은 삶의 매 순간마다 뒤집히기를 반복한다. 어떤 면을 보고 있을때의 공포는 때때로 참을 수 없을 정도로 힘들지만, 이는 삶이라는 것을 내 의지와 상관없이 받아들이게 된 숙명이라고 생각한다. 그 외의 선택지는 완전한 공백 밖에 없었던 것이다.

가치 있는 것

생각해야 할 것이 참 많은 요즘이다. 많은 사람과의 관계, 많은 일의 미래를 가늠해보고 행동하고 하는데 정신없이 에너지를 쓴다. 문득 혼자 있는 시간이 되면 “무엇이 가치 있는 것인가?”, “내 인생 동안 어디에 도달해야 하는가?”와 같은 결론 없는 문제가 머리 속에 떠오른다. 그리고 이런 생각이 발걸음의 방향을 잃게 만든다.

본질에 집중해야 한다. 무엇이 나에게 가치 있는가? 내가 평생을 걸쳐 바라봐야할 북극성은 무엇인가? 생각 끝에 지금은 세 가지만 생각하기로 했다.

아름다운 것.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름다움이 퇴색되거나, 나만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것은 아닌가? 영원하고, 보편적인 아름다움이 더 가치 있다.

사랑하는 사람. 내가 하는 행동이 누군가를 힘들게 하지 않는가? 이 행동이 사랑하는 사람의 행복과 일치하는가? 결국 나와 함께 뜻을 같이 하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중요하다.

아름다운 것을 사랑하는 사람과 나누는 것. 현재의 즐거움을 위해서는 아름다운 것을 사랑하는 사람과 나눌 수 있어야 한다. 나만 독식하는 아름다움이나, 내가 빠진 순간은 의미가 없어 진다. 같이 하는 순간이 가치 있다.

일요일 밤

달리고 오르내리던 아들은 기운이 다 빠진듯 숨소리도 조용히 잠들었다. 고른 날숨 소리가 방 밖으로 들려오는 듯 하지만 나지막히 잘 들리지 않는다. 꿈 속에서는 비행기를 타고 놀러 가거나 괴물에 쫓겨 달리고 있을지 몰라도 현실은 고요한 또 정적인 모습 자체다.

아내는 거실에 누워서 TV소리에 묻혀있다. 주말의 절반을 일로 보내고, 나머지의 절반은 아이와 그리고 나머지는 기어코 TV와 보내겠다고 한다. 나와 나누어 먹던 과자가 하나씩 줄어든다. 언제 잠들지 모르겠지만 주말 중 가장 가치 있는 시간이 지금일 수도 있는 것이다.

나는 누워서 거쉰을 듣다가 지금 시간에는 어울리지 않는 것 같아 브람스로 바꿨다. 내일은 늦잠을 자도 된다. 굳이 지금 잠들지 않아도 된다. 그럼에도 누워있는 내 모습이 나름대로의 사치를 누리는 듯 하다. 평상 시 같으면 책을 읽을 시간이지만 주위의 모든 도서관이 문을 닫은 까닭에 읽고 싶은 책이 7~8권은 밀려있다. 쉽게 다시 열 것 같지 않다. 이제 사서 봐야하나?

우리 세 명은 아픈 사람도 없고 배가 고프지도 않으며 내일 일찍 일어날 일도 없다. 탐험에 나서야 할일도 없으며 치열해야 할 이유도 딱히 없다. 평화롭고 자유로운 삶이다. 그래 이정도면 훌륭하고 잘 지내왔으며 자랑스럽다. 각자가 지금 덮고 있는 이불의 따스함 정도만 계속 되었으면 좋겠다.

지적 통찰력

단순한 사고를 하는 사람들은 현장을 무마하거나 와해 시키는 수준에서 대응한다. 더 능력있는 사람들은 다양한 이해 관계와 욕구 속에서 왜 이러한 현상이 벌어졌는지 이해하려 한다. 또 빠르게 상황을 읽고 최선의 선택을 한발 앞서 행한다. ‘다이나믹’을 순식간에 파악한다.

솔직히 말하면 나는 이러한 능력이 부족하다. 과거, 미래, 타인에는 관심이 없고 내 책상 위에 올라온 일에 집중한다. 따라서 자동차 정비공처럼 충분히 공부를한 자체가 왜 돌아가지 않는지는 쉽게 알 수 있지만 자동차 세일즈처럼 시시각각 변화하는, 또 다양한 상황에 맞는 임기응변은 내가 할 수 있는 일일까? 하는 의문이 든다.

왜 그럴까 생각해보니 이건 단순히 그 환경에 오래 있거나, 책을 열심히 보고 공부한다고 키울 수 있는 능력이 아닌 것 같다. 내가 이해 당사자, 즉 플레이어가 되어 치열하게 경쟁해야 가능한 일이다. 경쟁이라는 것은 내가 가만히 있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내가 가진 것을 누군가가 빼앗아 가는 것을 뜻한다. 빼앗겨 보면 무엇이 부족했는지 알게 된다.

더 많은 사람과 연결 될 수록 순간적인 통찰력, 경쟁은 필연적일 것이다. 움추린채 껍질을 단단하게 덧바르거나, 무수히 많은 경쟁에 참여해 지지 않게 하거나 둘 중의 하나는 선택해야 하는 시점이다.

영원한 것이 없다는 것만 영원하다

진리는 있는가? 도덕은 진리와 같은가? 그것은 영원한가? 진리는 모두에게 보편적인가? 진리는 가치 있는가? 진리가 없다면 절대적인것은 있는가? 그것은 영원하기 때문에 가치있는 것일까? 상대성을 모두 빼고나면 무엇이 남는 것일까?

삶이 혼란스럽다보니 내가 의지하고 바라보며 목표로 삼을 만한 것을 찾게 된다. 북극성이 없었다면 희망봉을 돌았을까? 그리고 과연 그것이 어디 있는가에 대해 고민하게 된다. 잠시나마 답을 찾았다고 착각했다가 또 달리 순식간에 답이 의문이 되고 또 다른 답을 고민하게 된다.

그러면 결국 나, 그리고 내 삶에 대해서 절대적인 것, 진리는 아니지만 나에게는 바른 것, 절대적이지는 않지만 나에게는 옳은 것, 그리고 내 능력이 닿는 한 내 가족에게는 가치 있는 것만 생각하기로 한다. 그 외의 것은 나의 고민이 닿지 않는 범위로 내버려두기로 한다.

이렇게 정리하고 나니 위에서 고민한 많은 물음에 대한 나의 대답은 모두 ‘아니다’ 로 단순해졌다. 단순한 것이 행복하고 아름답다. 그래, 어쩌면 이것도 나에게는 옳은 것 한가지 일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