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하다, 선택할 수 있다

사무실에서는 종이가 사라진 지 오래다. 그 자리는 파일이 대신한다. 사직서 혹은 사표는 옛날 드라마나 사전 속에서나 찾아볼 수 있는 말이 되었다.

‘사표를 품에 넣고 회사를 다닌다. 언제라도 상사한테 던지고 싶지만 사슴 같은 와이프와 토끼같은 자식들 때문에 참는다…’ 는 류의 어릴때 읽고 들었던 말들 말이다. 그 때마다 직장인의 고생, 책임감 같은 것을 떠올리며 ‘우리 아버지가 나를 이렇게 고생하며 키웠구나’ 라는 이 뻔한 표현만큼 뻔한 생각이 들었었다.

그런데 내가 그 나이가 되고보니 직장인의 사직서 라는 것을 꼭 품고 다니는 이유가 조금 다르게 이해된다. 위에서의 압박에 대해 대항하는 상사에게 던져버리고 싶은 무기가 아니라, 막다른 길에서 모든 고생을 끝내고 해방할 수 있는 문 하나를 가슴속에 품고 다니는 것이다.

더 이상 희망도 없고, 에너지도 없을 때 하나의 위로. 그렇다고 그 문을 열고 쉽사리 나갈 수는 없었을 것이다.  선택하는 것이 아닌 선택할 수 있는 것도 의미가 있는 것이다.

내가 이루어 온 것과 나

오십살, 육십살을 넘게 살아 이제 새로운 도전과 성취보다 하나씩 넘겨주고 잃어버릴 때가 되면 내가 그동안 이루어 온 것이 결국 ‘나’라는 인격, 자아라는 생각을 하게 될 것이다. 지금까지 내가 지켜 왔던 가치, 쌓아 올린 사회적 지위와 명성, 부, 자식의 삶 같은 것들이 결국 나라는 사람의 삶이 될 것 같은 생각이 든다.

그 때 예상치 못하게 이런 것들을 잃게 되면 그 상실감과 허망함이 얼마나 클까? 나는 반드시 잃게 될 두려움에 무엇을 쌓아 올리기 겁이 날 정도이다. 그 두려움에 몇 달 전의 글에서는 죽기까지 절대로 없어지지 않을 것만이 가치 있는 것이라고 감히 생각하기도 하였다.

오늘 가치를 위해서 살다가 이를 잃게 된 한 정치인의 비보를 들으면서 가치, 신념, 이상을 위해서 살기 위해서는 평범한 사람은 가지기 어려운 용기가 필요한 것임을 새삼스럽게 느낀다.

비난의 대상

잘못된 일이 일어났다. 버터를 발라 굽고 있던 식빵이 시간 조절을 못해 까맣게 타버린 사소한 잘못도 있다. 회사에서 많은 돈을 들인 프로젝트가 결국 제 시간에 끝나지 않는 일도 있다. (보통은 그렇지만) 배가 침몰해서 수많은 생명이 앞에 남아 있을 많은 행복을 누리지 못하는 큰 잘못된 일도 있다.

식빵이 타버린 일은 토스터가 고장이 아니라면 전부 나의 잘못이다. 그래도 별다른 처벌이나 비난을 받지 않는다. 극히 개인적인 문제다. 단지 쓰레기 봉지의 약간의 공간을 희생하면 된다.

커다란 잘못된 일이 벌어지고, 많은 사람이 손해를 보고, 그 결과를 불러온 많은 사람의 결정과 행동이 있었다면 어떨까? 중요한 일 일수록 많은 사람이 자의, 또는 타의로 참여하고 있다. 나는 보통 그 결정과 행동에 관여한 사람이 얼마나 비난 받아야 하는지 도저히 알 수가 없다.

왜냐하면 나는 결정과 행동에 자유 의지와 타인에 의한 강요가 섞여 있을 때 이를 명확히 구분할 수 없다. 또 선의로 한 행동이 잘못된 결과를 불러왔을 때 이를 비난하는 것은 잔인하다고 생각한다. 대부분의 사건은 너무 복잡해서 행동의 원인과 결과를 순서대로 늘어놓고 잘못된 결과에서 출발해서 거슬러 올라가기도 어렵다. 비난의 정도가 잘못과 상관없는 이유 때문에 너무 과한 경우도 있다.

그래서 내 주위 다수의 사람들이 누구를 비난할 때, 나는 같이 비난하거나 적어도 맞장구 치는 일이 별로 없다. 그냥 웃으며, 침묵한다. 대부분은 머리 속에서 “당신은 그에 대해서 너무 모르고 비난하는 것 아닌가요?” 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드문 일이지만 근거없이 너무 많이 비난하는 사람을 대할때는 추후 그 비난의 대상이 쉽게 내가 될 수 있으므로 행동을 조심한다.

종종 나를 ‘양비론자’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 또 같은 적을 욕하는 ‘우리 편’이 아니므로 선 밖으로 나가라고 하는 사람도 있다. 그럴때면 모든 사건에 대해 ‘재판관’ 같은 포지션을 취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하긴, 세상의 긍정적인 변화 중 많은 부분들이 다수의 집중된 비난 때문에 이루어진 사실도 인정한다. 그럼에도 나는 내가 생각하는 ‘대상’과 ‘정도’가 잘못된 비난에는 섣불리 동참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비난은 문제를 해결해서 다음에는 잘못된 결과를 다시 불러오지 않는 방법 중 가장 나중에 선택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충분히 이해하고, 들어보고, 확인하는 과정에서 비난의 필요성은 확연히 감소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미 세상에는 효용없는 비난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무한과 유한

아이를 키우다보면 가끔씩 무한한 기쁨의 순간이 찾아온다. 이는 나의 성취나 행운으로 느끼는 기쁨과는 확실히 다르다. 딱히 기쁠 이유가 없이 그 순간 나와 아이가 존재한다는 사실 자체로 느껴지는 기쁨이다. 무한하다고 표현하는 이유는 이 기쁨이 그 ‘존재’ 자체에 기인하기도 하고 또 그런 연유로 언어로는 형용할 수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 기쁨의 순간이 잦아들면 갑자기 걱정이 찾아오기도 한다. 이런 무한한 기쁨의 순간이 영원하지 않으리라는, 유한한 시간 속에 존재한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나와 아이 둘 중 하나의 존재가 사라지면(내가 그리 될 가능성이 크지만) 이 기쁨 또한 그 이후로 영원히 느낄 수 없으니까 말이다.

무한한 기쁨은 그 유한성을 전제로 하는구나. 무한한 기쁨을 영원히 누릴 수 있다면 이는 아마 진정 ‘무한’한 기쁨은 아닐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