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목서를 만난 행운에 대하여

금목서가 피는 가을의 한복판에 광주를 방문한 것은 행운이었다.

이렇게 향기로운 냄새의 근원이 나무인 것도, 황금빛 작은 꽃이 만발하는 나무가 금목서라는 것을 알게 된 것도, 그리고 이 향이 내가 어린시절 궁금하던 것임을 알게 된 것도 모두 운이 좋은 일이었다.

금목서는 짧게는 2주 길게는 한달 정도 강한 향을 내며 꽃을 피우는 중국산 나무다. 우리나라 기후에서는 주로 전라남도와 경상남도에서 자란다. 잠깐 검색해보니 광주, 목포, 진해, 순천 등에서 목격담이 있다. 짧은 시기, 그리고 좁은 지역에서 자라기 때문에 명성에 비해 실제 그 향을 맡아 본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아니 맡아 보았더라도 이 것이 금목서 향임을 알지는 못하리라. 나 또한 35년 동안 알지 못했다.

과천에서 차로 4시간 가까이 달려 광주 아시아문화전당 근처에 주차를 하고 내렸다. 확연히 따뜻한 공기와 함께 바람이 불 때마다 달콤한, 하지만 과일에서는 결코 느낄 수 없는 향기가 간질거린다. 아시아문화전당 가까이 걸어갈 수록 향이 강해지는데, 이 때는 향이 나무에서 나는 것인지 알 수 없었다. 이런 좋은 향기가 나무에서 뿜어져 나온다는 것을 상상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향기롭다는 모과에 비하면 이는 10배는 진하고 궁금증을 불러일으킨다.

놀랍게 복잡한 구조의 현대식 건물, 그 근처에 가서야 이 황금색 꽃잎이 향기의 근원임을 알게 되었다. 이 거대한 컴플렉스 전체가 향기로 가득차 있었는데, 오목한 분지 형태로 지어진 건물 안쪽에 나무가 심겨져 있었다. 향기를 눈으로 볼 수 있다면 마치 향기를 뿜어내는 건물 디퓨져와 같았을 것이다.

향기에 취해 있자니 문득 저 먼 시절 기억의 조각이 소환되었다. 이것은 내가 10살 남짓했던 소년 시절, 오랜 시간 다녔던 피아노 학원에서 늘 나던 향기였다. 꽤 넓어서 피아노 3대 정도 들어가던 1층과 피아노 한대가 간신히 들어가던 1.5층 다락방, 그리고 조그만 부엌이 있던 0.5층으로 이루어진 작은 피아노 학원이었다. 초등학교 4학년 2학기에 이 곳을 떠나왔지만 성인이 된 후 3번 정도는 시간을 내어 이 동네를 거닐었다. 딱히 고향이라는 의식이 없는 나에게는 이 곳이 내 기억 가장 오래된 풍경인 것이다.

10살 소년이 당겨 열기에는 무겁고,  절삭면이 거칠게 마감된 검은색 알루미늄 손잡이 를 당겨 들어가면 늘 이 향기가 났다. 그 때는 왜 이런 ‘냄새’가 나는 지 알 수 없었다. 향이란 무언가에서 나는 것이지 일부러 향기를 내기 위해 무엇을 뿌리는 것은 상상하지 못했었다. 88올림픽과 98년 사이의 활기넘치던 시절, 그 활기만큼 아이들이 바글바글하던 학원을 혼자 운영하시던 선생님은 어떻게 이 향을 가득하게 만드셨던 것일까. 아이들이 몰려오기 전 청소를 마치고 늘 이런 준비를 하셨던 것일까. 아니면 선생님이 쓰시던 향수의 향일까.

지금은 알 수 없다. 놀라운 것은 91년의 냄새와 2025년의 냄새가 정확히 같은 것임을 내가 확신할 수 있다는 것이다. 35년을 뛰어넘어 사진이나 글, 녹음 같은 기록이 없이도 정확하게 기억하고 있는 그 향. 그것은 오히려 글이나 말로 기록될 수 없으며 무엇도 매개할 수 없기 때문에 오히려 내 몸 어딘가에 강렬히 복제되었던 것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