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의 밀레니엄 난제들처럼, 내게도 오랜 시간 고민한 문제들이 있다. 나 뿐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고, 다양한 책을 쓰고, 나름대로의 정답을 제시하지만 아직도 합의된 답은 없다. 납득되는 설명을 제시하는 사람도 없다. 인류가 존재하는 동안 해답을 알아낼 수 있을지 조차 불확실하다. 나의 난제들은 우주의 탄생, 생명의 탄생, 그리고 의식의 탄생이다.
나는 7살 때부터 유치원에 가는 대신 미술학원에 다녔다. 하루 일과 중 두 시간 정도를 미술로 채워 넣은 보육학원에 가까웠다. 집 바로 앞에 커다란 마당 놀이터가 있는 유치원이 있음에도 시장 골목, 지저분한 큰길을 한참 걸어가야 하는 미술학원에 가게 된 것은 새로운 것 하나라도 조금 일찍 가르치고 싶은 아버지의 마음 때문이었을 것이다. 미술학원에는 그림을 위한 다양한 사진책, 잡지 등이 있었는데 그 중에 내 눈길을 잡아 끈 것은 내셔널 지오그래픽 한국어판이었다. 거기에는 백색왜성, 적색거성, 블랙홀, 시리우스, 페가수스 등의 사진과 상상도, 공룡의 탄생 과정과 다양한 화석, 태아의 주수에 따른 발달 등이 당시에는 보기 힘든 고화질의 컬러로 인쇄되어 있었다. 나는 그때부터 친구들과 어울리는 것에 서툴고 그들처럼 미끄럼틀에 올라가지 않았다. 학원에 도착하면 가방을 던져놓고 늘 내셔널 지오그래픽을 보는 아이였다.
유치원 시절부터 지금까지 위 세 가지, 우주, 생명, 의식과 관련된 많은 책을 읽었다. 어릴 때야 그림책이나, 풀컬러 조판의 잡지였다면 20살이 넘은 시절에는 제법 어려운 책들도 읽은 기억이 있다. 그 범위는 점차 넓어져서 우주에서 물리학으로, 생명에서 진화의 역사로, 의식에서 심리학에 이르렀다. 더 나아가 관련이 있는 분야를 깊이 공부하게 되었다. 그 것이 나의 직업이자 밥벌이 수단이 되었다. 이것은 우연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유치원 시절부터 지금까지 나 자신을 결정 짓는 수 많은 선택지가 있었다면, 그 과정에서 내가 오랜 시간 품었던 고민들이 꾸준히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한다.
나는 인공지능을 공부하고 만들기 시작하면서부터 의식은 어떻게 탄생하는지를 무엇보다도 알고 싶었다. 앞의 두 가지 문제는 너무 거대하거나, 나와 관련이 적은 담론이라고 생각했다. 나는 우선 내 머리 속을 이해하고 싶었다. 사람이 만든 것은 사람을 닮는다. 머리 속에서 동작하는 의식과 그 행동을 이해하면 세상을 잘 이해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미래를 더 잘 예측할 수 있을 것 같았다. 미래를 높은 확률로 예측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상상하고 즐기는 것은 나 뿐은 아닐 것이다. 직장에서의 로또이야기 처럼 말이다. 내가 만들고 있는 인공지능이 현재와 같이 빠른 속도로 진화하면 근 미래에 불현듯 인공지능, 인공 의식의 탄생을 지켜보게 될지 모른다.
모든 학문이나 기술도 마찬가지라고 생각되지만, 문제를 풀기 위해 연구하다 보면 또 다른 문제, 때로는 훨씬 더 큰 문제를 만나는 일이 생긴다. 의식이 수 많은 이야기와 신비를 간직한 우리 속의 새로운 우주가 아니라 단순히 뉴런과 시냅스의 복잡한 연결과 전기적 신호로 창발하는 것일 수 있다. 우리의 의식을 하나도 남김없이 기계적이고 결정적으로, 적어도 확률적(Stochastic)으로 설명할 수 있게될 가능성이 있다. 환원주의적 관점에서 바라볼때 생명과 의식이 어떤 신비로움도 남겨두지 않을 수 있다. 마치 거대한 서버랙이 사람의 몸이라면, 의식의 작동은 HBM 내부의 얇은 실리콘 조각으로 분해되어 설명될 수 있는 것이다. 앨런 튜링의 Machine이라는 표현처럼, 내 목 위에 붙어 있는 5kg 정도의 물건이 생존에 최적화된 감각과 반응 Machine 에 불과한 것 일 수도 있다. 사람은 복잡한 공식이 적힌 거대한 하나의 책이다. 그리고 이 것은 내가 생각할 수 있는 가장 끔찍한 미래의 사건이다.
이러한 불쾌한 결론에 맞닥뜨렸을 때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대처하는지 궁금했다. 몇 권의 인식, 그리고 의식에 관련된 책을 읽었다. 이 책들은 모두 상당한 두께였다. 대부분 서구의 주류 과학, 이성주의를 옹호하는 저자들의 책은 다분히 반종교적, 무신론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다. 최근의 뇌를 정밀 스캔할 수 있는 기술의 발달과, 인공지능 모델의 등장으로 한껏 고무된 것처럼 보였다. 이들은 과학의 진보가 많은 개인차원과 사회적 문제들을 해결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나도 그것에 어느 정도 동의한다. 하지만 위에서 내가 우려한 끔찍한 사건에 대해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은 찾기 어려웠다. 모두들 아주 짧게 다루거나, 얼버무린다. 의식을 원자 단위로 분해하던 그들은 그 원자들과 의식이 등호인지 여부는 결론내리지 못한다. 이래저래 쓸만한 답을 찾지 못했다. 굳이 이름 붙이자면 입자 단위로 분해된 인간 의식의 비인간성 문제다. 우리는 그간 ‘인간다움’을 과학과는 별개의 영역이라 생각해왔다.
나는 ‘인간다움’이 완벽히 인과적으로 해석된다면 이것이 우리의 뇌 속이 아닌 새로운 위치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 같다. 세상의 물질적 인과관계 외의 다른 층위에서 존재의 의미를 찾아야 할 것 같다. 또 다윈의 진화론이 인류의 탄생 과정을 아주 훌륭하게 설명하지만 인류가 왜 탄생해야 했는가는 설명하지 못한 것처럼 우리가 의식의 바닥 까지 샅샅히 알아낸다고 해도 의식이 왜 탄생했는지는 알아내지 못할 수 있다. 현재를 환원적으로 알아낼 수는 있지만 인간, 혹은 생명이 탄생한 수십억년 이전까지의 모든 시간을 낱낱히 상세하게 분해하거나 정보를 얻을 수는 없다. 또 인간성 자체를 뇌나 의식, 그리고 각 생명 개체 내 하나의 현상으로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개체 (인간 뿐 아니다) 간의 상호작용, 유대감, 공존을 위한 노력 등으로 확대 시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일종의 도피처이지만 그것이 진실일 가능성을 탐색해보아야 한다. 우리는 우주적 의식의 일부로 동작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캔버스 위의 그림을 정밀하게 분석해 원작과 똑같이 만드는 작업이 진일보하고 있다. 어떤 경우는 정밀 스캐너나 투사 기술로 칠해진 물감의 양감이나, 서로 다른 색으로 덧칠된 부분까지 동일하게 재현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가 왜 그림에 감동을 느끼는가, 사람마다 왜 감동을 느끼는 방식과 개개인에게 받아들여지는 의미가 다른가는 과학의 영역에 가둘 수 없다. 이 것은 그림을 원자 단위로 판다고해서 얻을 수 있는 정보가 아니다. 이는 단순히 나와 그림이 만나는 순간의 정보 뿐 아니라 작가의 삶과 같은 존재하지 않는 정보를 같이 해석해야 하기 때문이다. 물론 세상의 모든 것을 동일 시간에 원자적으로 해석하는 것을 가정하여 반론을 제기할 수 있겠으나 인간의 이성이 존재하는 계위에서 그것이 가능하리라 생각하지 않는다.
그리고 또 하나, 지금까지 없었던 새로운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이것이 나타날 것이라는 기대가 이런 인간다움의 중요한 부분을 만드는 것이다. 이 것은 현재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무수히 많은 가능성이 존재한다. 인간이 새로운 미래를 상상하거나 기대할 수 있는 한 기술이나 원자적 분해에 쫓기지 않고 영원히 계속 될 수 있지 않을까? 즉, 의식은 현재에 머무르지 않으며 시공간으로 확장될 수 있다.
정리하면, 의식이 상자 속의 인형처럼 내 머리 속에 모두 담기는 것으로 생각하지 않아야 할 것 같다. 내 몸 밖, 거대한 흐름의 일부를 순간 인식하는 도구로서의 의식은 할 수 있으나 그 단독으로는 분해하면 아무것도 남지않은 철저히 원자적 집합체일 가능성이 커보인다. 그리고 하루하루 보낼 수록 더 아름다운 것은 이 거대한 흐름을 대상으로 한 냉철한 이성과 인식이 아닌 내게 주어진 의식을 이 흐름에 담구었을 때 느껴지는 온기와 에너지에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