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팽이

  이 노래는 십오 년 전쯤, 어느 봄날의 교무실에서, 좋다고 느낄 사이도 없이 짧은 순간 스치며 지나가듯 만났다. 여느 중학생이 그러하듯 혼자만 무엇이 다른 듯, 남들에 비해 성숙했다고 여겨지는 느낌을 좋아했는데, 알 수 없이 난해했지만 친근한 단어로 쓰인 가사가 마음에 들었었다. “집에 아무도 없을 때 들어와 혼자 잠에 드는” 이야기는 마치 내 이야기를 적은 것 같았다.


  하지만 가장 마음에 들었던 부분은 나는 비록 느리고 작은 달팽이라 한번도 바다를 본적이 없지만, 매일 동트기 전 새벽에 깨어나 무엇인가를 알 수 없이 가는 모습을 묘사한 부분이었다. 어떻게 살아야 할지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서는 도저히 잠을 들 수 없었던 소년의 생각에 “이 정도라면 나도 해볼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조금이나마 생겨났었다.


  어느 사이엔가 세월은 훌쩍 흘러 나는 홀로 서야 하는 나이가 되었지만 아직도 그때에 비하여 그리 대단한 성숙함을 가지지 못하였다. 담대함으로 껍질을 깨뜨리는 용기도 갖추지 못한 채 그저 아침에 일어나 또 다시 무엇인지 모를 것을 향한 채비만을 하고 있는 것이다. 주어진 역할에 맞추어 그저 다른 수백만의 달팽이들처럼.


  아주 오래 전에는 선명하고 청량하게 들렸던 파도 소리는 이제 익숙함 때문인지, 세상의 번잡함 때문인지 점점 희미해지고 들려오는 방향조차 알기 어려워졌다. 호기롭게 ‘영원함’을 외치던 스스로는 이제 그 약속을 머쓱하게 물린 채 조건을 하나 둘 달기 시작했다. 그런 시간이 한 달, 두 달이 지나 이제 일년이 되었다.


  이제는 더 이상 머리를 저으며 차가운 방바닥에 앉아 목표 없는 시선을 던져서는 안되겠다. 멀리 떠나 해답을 찾으려 한다던가, 의미 없는 대화의 반복 속에서 실마리를 잡으려 해도 안되겠다. 나를 당당하지 못하게 만드는 목소리에 귀 기울이지 않고 내가 정한 저 알 수 없는 내면의 외침 중 하나를 중요하게 생각해야겠다.


  실패는 나에게 무엇인가를 다시 시작할 수 있다는 기회를 선사했고, 쓰러짐은 내 두 다리를 더 굳건하게 만들 의욕을 선사했다. 내가 20대에 흘린 수천 시간의 땀방울이 꼿꼿한 걸음걸이를 준 것처럼 미래에 생길 수천 시간의 쓰라림과 부끄러움은 나의 자신감 있는 목소리의 원천이 될 수 있다.


  나는 시간을 먹고 사는 달팽이가 되어서 전속력으로 어딘가를 향해 질주해야겠다. 나를 테스트할 시점은 끝나고 본 게임이 시작되려 한다.

가을

조그만 다이어리에 일주일 마다 있는 미팅의 내용을 기록할때마다 ‘아 뒷장들이 얼마 안남았네’라고 느끼고 올해의 반환점을 돌았음을 실감하고 있다. 또 잠이 덜 깬 아침에 스쿠터를 타고 학교를 오를 때마다 어제와는 다른 쌀쌀함에 사뭇 잠이 깨고는 산이 불러온 빠른 가을을 실감하고 있다. 또 조금 시간이 지나면 온통 단풍잎 휘장으로 갈아입겠지. 작년에 이 장소에 집중하지 못한 마음 때문에 순식간에 변화하는 LED 불빛같은 그 모습을 미처 못보았는데, 올해에는 조금 더 바닥을 보고 앞을 보고 눈을 깜빡이지 말아야지.

늘 두려움을 느낄 때는 자신이 부족하다는 것을 불현듯 인식하게 될 경우이다. ‘아 이 정도 노력으로 충분하겠지’했던 문제가 생각했던 것보다는 훨씬 더 복잡한 것이어서 좌절을 맛볼 때의 경험이라던가. 오래전에 묵혀놨던 미해결의 무엇인가를 꺼내어 자신을 다시 테스트 해보는 일에서 전혀 변하지 않은 자신의 모습을 발견했을 때라던가. 육체의 불변함을 원하는 것과는 다르게 무엇인가 정신적으로 불변하는 것이 오래가면 두려움을 느끼고 변명거리를 찾게 된다.

초조한 마음에도 가는 시간을 붙잡아 둘수는 없고 늘 언젠가는 평가받아야 되는 시기가 오기 마련이다. 초등학교 때의 구구단과 같은 간단한 숫자 들에서 20년의 세월을 거쳐서 어느덧 더 커다란, 어린 시절의 9와 같은 엄청나게 커다란 수가 몇 번이나 곱해진 것 과 같은 크기로 나를 압도하는 어떤 시험이랄까 시련이랄까. 나는 고작 조그만 꼬마에서 고만고만한 키로 자랐지만, 내 앞에는 한시간에서 하룻밤이 되고 책 한권이 되고 한달이 되고 부풀어오른 사전이 되었다.

박태환 선수의 1600M 자유형 경기에서 발견한 것처럼, 모두가 같이 시작하고 모두가 최선을 다하지만, 누군가는 200M에서 지치고 누군가는 400M에서 지치고 누군가는 믿을 수 없게 지치지 않는다. 0.1초에 숨을 참으며 물속으로 뛰어들던 선수들이, 옆 레인을 보며 팔을 더 멀리 뻗고, 발을 더 깊게 차서 앞서 나가려고 애쓰던 선수들이 결국은 양 옆에 아무도 보이지 않는 물 속에서 혼자 터질 것 같은 폐를 억누르면서 그렇게 앞으로 나가는 것이다.

나는 뛰어나지 않기 때문에 미리 해야되고 많이 해야되고 오래해야 되고 또 여분을 준비해야된다. 또 빠르게 가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조금씩 조금씩 변화해 가는 모습을 확인하고 지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꾸준히 자신에게 타일러 왔다. 때로는 오랜 기간을 변하지 않는 자신에 두려움이 생기기도 했지만 그래도 무엇인가 옳은 쪽으로 변화해왔다는 자긍심은 가질 수 있는 위치라고 생각한다. 이 블로그에 아주 오래된 글을 볼때마다 부끄러움에 얼굴이 화끈거린다. 그만큼 변했고 그만큼 성장했다고 느낀다.

20대의 가을에 있다. 겨울을 준비하려면 역시 땔감을 많이 모으고 먹을 것을 저장해 놔야한다. 하나 다행인 것은, 문득 주위를 둘러보면 앞 사람의 등과 뒷 사람의 코 뿐이 보이지 않는 와중에서도 따뜻한 햇살을 비춰주는 20대의 한여름이 고맙게도 곁에 있다는 것이다.

터널

스쿠터를 달려 학교에서 집까지 오는 길에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폭이 넓은 큰길을 하늘을 보면서 달려오는 방법이고, 또 하나는 폭이 좁은 이차선의 도로를 터널을 지나 오는 방법이다. 어느 쪽을 좋아하냐고 누가 물어보면 나는 주저 없이 터널을 지나 오는 길을 좋아한다고 답하고, 또 실제로 그 길을 지나오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여기에 얼마전 누군가가 “왜?” 라는 질문을 했고, 나는 다음 처럼 답했던 기억이 있다.

“일단 터널로 들어가면 꽉 막힌 것 같잖아? 하늘도 보이지 않고, 양옆도 두꺼운 타일로 뒤덮여 있어서 보이는 것은 저 끝의 희미한 밝은 빛이고 뒤로는 돌아갈 수가 없는 거지. 그리고 스쿠터를 타고 달려보면 알겠지만, 웅웅웅 하는 내 엔진소리가 벽에 부딪혀 반사되는 소음에 다른 소리는 잘 들리지도 않아. 오직 앞의 밝은 빛과 다른 모든 소음을 차단시키는 엔진소리만 있고 아무것도 없는 것 같아. 그렇다고 내가 터널 속을 달리는 것을 좋아하는 건 아냐. 내가 가장 좋아하는 것은 바로 터널을 빠져나오는 순간이지. 팬으로 억지로 끌어들인 답답한 터널 속의 공기가 산 속의 청량한 공기로 바뀌고, 순간 하늘이 보이면서 세상이 펼쳐지지. 그리고 가장 드라마틱한 것은 웅웅웅 거리면서 귀를 시끄럽게 하던 소음이 ‘뻥’하면서 순간 고요해 진다는 거야. 나는 이 순간을 좋아하기 때문에 늘 터널을 지나다녀.”

그렇게 내 주위의 모든 것이 한순간에 변화하는 경험을 즐기기 때문인 것 같기도 하고. 또 한편으로 드는 의문은 과연 내가 느끼는 것 만큼의 실제의 변화인가 상상속의 변화인가?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그래서 하루는 실험을 해보기로 작정하고, 여느 때처럼 터널에 진입해서, 좋아하는 터널을 빠져나오기 직전에 살며시 눈을 감고 귀로 들리는 소리에만 집중했다. (매우 위험한 짓이지만;) 기대했던 ‘뻥’하는 순간의 소리는 없었다. 앵콜 공연이 없는 것처럼 서운했지만, 나는 여전히 터널을 통해서 학교를 오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