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omist] 어둠 속의 생명을 찾아서 (Looking for life in the shadows)

Planet hunting Looking for life in the shadows


Jan 7th 2010
From The Economist print edition


The search for a second Earth gets serious
새로운 지구를 찾는 일의 심각성이 커진다.
 



IN THE 19th century astronomers spent a lot of time seeking shadows crossing the sun. They were searching for Vulcan, a putative planet inside the orbit of Mercury, by looking for its transits. These are the moments when, viewed from Earth, the hypothetical planet would cross the solar disc. Sadly, there was no Vulcan to be found, but the method itself is sound, and it is the modus operandi of Kepler, an American probe that has been trailing round the sun in the Earth’s wake since March 2009.


19세기 천문학자들은 태양 너머 어둠을 관찰하는데 많은 시간을 보냈다. 그들은 수성을 중심으로 도는 궤도 속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Vulcan가 수성의 위를 통과하기를 기다리면서 그것을 찾고 있었다. 지구에서 봤을때, 그 순간은 이 가설속의 행성이 태양 원반을 가로지르는 때 일 것이다. 안타깝게도, Vulcan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그 관찰 방법은 옳았으며 이는 2009년 이래 지구의 자취를 쫓아 태양 주위를 도는 미국의 무인 우주 탐사선 kepler의 활용 방법이 되었다.


Kepler is a telescope that looks simultaneously and continuously at more than 150,000 stars, recording the amount of light coming from them. It is seeking the tiny, periodic diminutions of illumination caused by planetary transits and, on January 4th, the team running it announced at a meeting of the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in Washington, DC, that five such patterns had shown up in the first six weeks of the probe’s operation.


Kepler는 동시에, 지속적으로 150,000개 이상의 별을 관찰 할 수 있으며, 이들로부터 오는 빛의 양을 기록할 수 있는 망원경이다. 이 망원경은 행성 면 통과로 인한 작고, 주기적인 밝기의 감소를 찾는데, 이를 운용하는 팀은 1월 4일에 워싱턴 DC에서 개최된 미 천문학 협회에서 이 탐사선의 최초 6주 간의 운용 동안 5개의 그러한 패턴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The past 15 years have shown that planets around stars other than the sun are commonplace. More than 400 have been located by looking for the wobbles in parent stars that orbiting planets cause. A decent wobble, though, requires a massive planet, so the wobble method does not favour the discovery of smaller, Earth-sized objects. Kepler, by contrast, can find such planets easily. The Earth itself, in transit, reduces the amount of light an observer would see from the sun by about 0.01%. That is well within Kepler’s range.


과거 15년 동안 태양이 아닌 다른 별들에도 주위를 도는 행성이 있다는 사실이 일반적이라는 것을 밝혀왔다. 주위를 도는 행성에 의한 모성의 깜빡거림을 찾은 결과 400개 이상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Kepler에게 이러한 행성을 발견하는 것은 쉬운일이다. 지구 자신의 태양 면 통과시 태양에서의 관찰자가 볼수 있는 빛의 양을 약 0.01% 감소시킨다. 이는 충분히 Kepler가 감지할 수 있는 범위에 있다. 



In fact, the planets Kepler has found so far are significantly larger than Earth. Four are a little bigger than Jupiter, the largest planet in the Earth’s solar system, and one is about the size of Neptune, the fourth-largest. They also have much shorter orbits, ranging from 3.3 to 4.9 terrestrial days. Neither of these facts is surprising. Even using the transit method, big planets are easier to spot than small ones, and to be sure that a flicker in brightness is caused by a planet rather than some property of the star itself, it must occur at regular and predictable intervals. Hundreds of flickers that might have been caused by planets with longer orbits have been seen, but have not yet been confirmed as transits.


사실, 지금까지 Kepler가 발견한 행성들은 지구보다 훨씬 크다. 4개의 행성이 태양계의 가장 큰 행성인 목성보다 조금 컸으며, 한개는 4번째로 큰 행성인 해왕성만한 크기였다. 그들은 또한 매우 짧은 궤도를 가졌는데, 지구에서의 3.3일에서 4.9일 범위에 있었다. 이러한 사실들은 놀라운 것이 아니다. 행성면 통과 기법을 사용하더라도, 커다란 행성이 작은 것들보다 발견하기 쉽고, 반짝임이 그 별 자체의 어떤 속성에 의한 것 보다는 행성에 의한 것이라는 것을 확신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이고 예상할 수 있는 간격으로 일어나야 한다. 행성들에 의해 유발될지 모르는 긴 궤도를 가지는 수백개의 반짝임들을 찾아냈지만, 아직 행성 면 통과 기법을 통해 확증하지는 못했다.


A short orbit means that the planets in question are much closer to their stars than Earth is, and thus much hotter (1,200-1,650ºC), as well as being larger. But they are not as hot as the most peculiar discoveries Kepler has made. These are two planet-sized objects that are far hotter (at 12,000-13,000ºC) than their distances from their parent stars suggest they should be. That means they are giving out energy of their own, yet they are too small to be stars. One theory is that they are youngsters, giving off heat as they collapse inward due to the pull of their own gravity, but nobody knows for sure.


짧은 궤도는 해당 되는 행성들이 그들의 별에 지구보다 훨씬 가까이 있고, 또 그 결과 매우 뜨거울 뿐 아니라 (1,200-1,650ºC) 거대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그들은 Kepler 고유의 발견 대부분보다는 뜨겁지 않다. Kepler는 모성과의 거리를 고려했을때의 수치보다 훨씬 뜨거운(12,000-13,000ºC) 2개의 행성 크기의 물체를 찾아 냈다. 이것은 그들이 별이 되기에는 너무 작지만, 자신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를 스스로 방출한다는 것은 의미한다. 한 학설은 그들이 스스로의 중력 때문에 내부로 붕괴하며 열을 발산하는 젊은 별이라 하지만, 아무도 확실한 것은 모른다.  


None of these discoveries favours the underlying reason why planet-hunting is such a popular sport—the hope, so often fictionalised, as in the recent film “Avatar”, that one day a life-bearing planet will turn up. For this to have a chance of happening, more numbers will have to be crunched, and planetary atmospheres analysed for signs of oxygen. The hunt, however, is on in earnest. If Earth-sized planets are out there, they will soon be found.


이러한 발견들이 왜 그렇게 새로운 별을 찾아내는 것이 인기있는 스포츠인지를 설명해주지는 못한다. 그 희망은 어느 날 생명이 살고있는 행성이 나타나게 되는 최근의 영화 “아바타”에서 처럼 자주 영화화된다. 이런 기회가 찾아오기 위해서, 더 많은 숫자들을 처리해야 하고, 행성 천문학자들은 산소의 자취를 분석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사냥은 본격적인 궤도 상에 있다. 만약 지구만한 행성이 어딘가 있다면, 곧 발견하게 될 것이다.

[Economist] 문 앞의 곰 무리 (Bears at the door)

Bears at the door


Jan 7th 2010 | ESPOO
From The Economist print edition


Can the world’s largest handset-maker regain the initiative?
세계 최대의 핸드셋 제조사가 다시 주도권을 잡을 수 있을까?


Illustration by Claudio Munoz


ASK Finns about their national character and chances are the word sisu will come up. It is an amalgam of steadfastness and diligence, but also courage, recklessness and fierce tenacity. “It takes sisu to stand at the door when the bear is on the other side,” a folk saying goes.


핀란드 사람들에게 그들의 국민성에 대해 물어보면 아마 십중 팔구는 “sisu”라는 단어를 언급할 것이다. 그것은 확고함과 근면함이자 또한 용기, 무모함, 저돌적인 집요함 등을 나타낸다. 한 민요에는 “문 마주편에 곰이 서있을때는 sisu를 가져라” 라는 구절이 있다.


There are plenty of bears these days at the doors of Nokia, the Finnish firm that is the world’s biggest maker of mobile handsets. Although it is still the global leader in the fast-growing market for smart-phones, its devices are losing ground to Apple’s iPhone and to the BlackBerry, made by Research in Motion (RIM). On January 5th Google took a further step into the market with the launch of the Nexus One, a handset made by HTC of Taiwan that the internet giant will sell directly to consumers, and which runs Android, Google’s operating system for smart-phones.


세계 최대의 핀란드 국적 모바일 핸드셋 제조사 노키아의 문 앞에는 최근 엄청난 수의 곰 무리들이 버티고 서있다. 아직 빠르게 성장하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세계 1등 기업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만, 애플의 iPhone이나, RIM 사의 Blackberry 때문에 노키아의 단말기들은 점점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1월 5일, 구글은 그들의 스마트폰을 위한 운영체제 안드로이드를 탑재하고 대만의 HTC사에 의해 제조되는 소비자 직접 판매 방식의 Nexus One 단말을 런칭하면서 스마트폰 시장에 한걸음 더 다가섰다.


Especially in America, where Apple and RIM reign supreme in the smart-phone market, many already see Nokia as a has-been. Developers are rushing to write programs for the iPhone and for Android, but shun Symbian, Nokia’s rival software platform. And Nokia’s efforts in mobile services, mostly under its Ovi brand, have yet to make much headway.


애플과 RIM이 스마트폰 시장의 절대 강자로 군림하는 미국에서 노키아는 이미 한물 간 것으로  취급된다. 개발자들은 노키아의 소프트웨어 플랫폼 심비안을 버리고 iPhone과 안드로이드를 위한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몰려들고 있다. 대부분 Ovi 브랜드를 통한 그들의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노력은 아직도 갈길이 멀다.


When the company makes headlines these days, it is thanks to the patent lawsuits it has filed against Apple, which many have interpreted—perhaps unfairly—as an admission of commercial defeat. The latest suit, filed in late December, asks America’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 to ban various Apple products, including the iPhone, from entering the country.


노키아가 애플을 상대로 제기한 특허 소송 때문에 연일 헤드라인을 장식하는데, 이는 공정치 않지만 상업적 패배의 시인이라고 해석된다. 가장 최근인 작년 12월의 소송은 미 국제 무역 위원회에 iPhone을 포함한 애플의 상품들을 미국으로 들여오는 것을 금지 시키라고 요청했다.


Nokia beats Apple in annual sales ($57 billion versus $37 billion) and market share in smart-phones (39% versus 17%), but it is much less profitable. In fact, Nokia’s share of industry profits fell from 64% in 2007 to 32% in 2009—not much more than Apple’s and less than RIM’s, according to Brian Modoff, an analyst with Deutsche Bank. Small wonder that Nokia’s market capitalisation is barely a quarter of Apple’s.


노키아는 연 판매량(570억불 vs 370억불)과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38% 대 17%)에서 애플을 앞질렀지만, 수익률 면에서는 훨씬 좋지 않다. Deutsche Bank의 애널리스트 Brian Modoff에 따르면 사실 노키아의 산업 수익 점유율은 2007년의 64%에서 2009년의 32%로 떨어졌고 이는 애플보다 압도적이지 않고 RIM보다 적다. 노키아의 시장 투자 시가총액이 겨우 애플의 1/4이라는 것은 놀라운 것도 아니다. 


Yet in Nokia’s headquarters in Espoo, near Helsinki, morale is far better than one might expect. Hardly anyone would deny that there are problems. But executives insist that they can be overcome. When board members met financial analysts in December, they made some bold predictions. Within a year, promised Olli-Pekka Kallasvuo, the firm’s boss, the ageing Symbian software will have been vastly improved, to enable Nokia to offer “magic devices”. As for services, the goal is to have signed up 300m users by the end of 2011. “I’ve rarely heard such explicit statements,” says Ben Wood of CCS Insight, a long-time Nokia watcher.


아직 헬싱키 근처, 노키아의 본사가 위치한 ESPOO에서의 사기는 예상 된 것보다 훨씬 낫다. 누구도 문제가 있다는 것을 부정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임원진들은 그들이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12월, 이사회 멤버들이 재무 애널리스트들을 만났을 때, 몇가지 호기로운 예상을 했다. 노키아의 사장 Olli-Pekka Kallasvuo는 1년 이내에 오래된 심비안 소프트웨어를 대대적으로 발전시켜 노키아에서 “Magic Device”를 출시 하겠다고 약속했다. 서비스를 위해서는 2011년 말까지 3억 가입자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오랜기간 노키아를 관찰해온 CCC Insight의 Ben Wood 는 “그렇게 확고한 단언을 들어본 적이 별로 없었다.”로 말했다.


Nokia has overcome many crises in the past. In 1995 poor logistics caused it to stumble. It responded by developing one of the world’s most efficient supply chains, capable of churning out some 1.2m handsets a day. A decade later it failed to anticipate the demand for “clamshell”-type handsets, but bounced back quickly to restore its market share in handsets to 40% and thus its industry dominance.


노키아는 많은 위기를 극복해 왔다. 1995년에는 물류의 문제가 회사를 휘청이게 만들었다. 이의 결과로 하루에 120만개의 핸드셋을 생산할 수 있는 세계 최고의 공급망을 구축하게 되었다. 10년 후에는 폴더 타입의 핸드셋에 대한 수요를 예측하는데 실패했지만 곧 반등하여 40%의 시장 점유율을 회복할 수 있었고, 산업을 여전히 지배할 수 있었다.


But this time the problems go deeper. In more than one way, Nokia has to become a different company, says Jay Galbraith, a management expert. Until now, it has excelled in making and distributing hardware. This has trained the organisation to focus on planning and logistics. Deadlines are often set 18 months in advance. Teams developing a new device also work in relative isolation and even competitively, to make each product more original. And although Nokia has always done a lot of market research and built phones for every conceivable type of customer, it sells most of its wares to telecoms operators and designs its products to meet their demands.


하지만 이번 문제는 더 심각해 보인다. 매니지먼트 전문가 Jay Galbraith 는 노키아가 여러가지 방법을 통해 새롭게 거듭나야 한다고 말한다. 지금까지 노키아는 하드웨어의 제작과 유통에 뛰어남을 보여왔다. 이것은 조직을 계획과 물류에 초점을 맞추도록 훈련시켜 왔다. 데드라인은 보통 18개월 정도의 미래에 설정되었다. 고유성을 위해서 팀들은 상대적으로 독립적이고 또 경쟁적으로 새로운 제품을 만들었다. 비록 노키아는 많은 시장 조사를 하고 소비자들의 취향에 맞는 타입의 핸드폰을 만들었지만, 그들 제품 대부분은 통신사에 판매 되었으며 그들의 요구에 맞게 디자인 되었다.


With the rise of the smart-phone, however, software and services are becoming much more important. They require different skills. Development cycles are not counted in quarters and years, but in months or even weeks. New services do not have to be perfect, since they can be improved after their launch if consumers like them. Teams have to collaborate more closely, so that the same services and software can run on different handsets. Nokia also has to establish a direct relationship with its users like Apple’s or Google’s.


하지만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에 따라 소프트웨어와 서비스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다른 기술이 필요하다. 개발 주기는 연, 분기 단위로 셈되지 않고, 월, 심지어 주단위를 필요로 한다. 서비스는 완벽할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소비자들이 좋아하기만 한다면 런칭 이후에도 개선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같은 서비스나 소프트웨어가 다른 핸드셋에서도 구동되게 하기 위해서 팀들은 더 긴밀하게 협력해야 한다. 또한 노키아는 구글이나 애플처럼 그들의 고객과 더 직접적인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To Nokia’s credit, it anticipated the shift to software and services much earlier than other handset-makers. It launched Ovi in 2007, almost a year before Apple opened its highly successful App Store. A few months later, Nokia bought Navteq, a maker of digital maps, for a whopping €5.7 billion (then $8.1 billion), to be able to offer better location-based services. Shortly thereafter, Nokia launched Comes With Music, an innovative pairing of a handset with a digital-music subscription.


노키아의 명성대로, 그들은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로의 이동을 다른 핸드셋 제조사보다 훨씬 빨리 예상했다. 애플이 대단히 성공적인 앱스토어를 오픈하기 거의 1년전인 2007년에 그들은 Ovi를 선보였다. 몇 달 후 노키아는 더 나은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해 디지털 지도 제작사인 Navteg을 57억 유로(81억 달러)라는 터무니 없는 가격에 인수했다. 그 직후 노키아는 핸드폰과 디지털 음악 서비스 가입을 묶은 혁신적인 “Comes with Music”을 선보였다.


These efforts have not been great successes, although Nokia says that 86m people now use its various services. The firm is still working at bundling a selection of them into a neat package that is easily accessible from its handsets. Moreover, most of its offerings have to compete against popular incumbents, such as Facebook, Apple’s iTunes store and Google Maps. To further complicate matters, telecoms operators are reluctant to let Nokia offer services directly to their customers, since they want to do the same.


비록 노키아가 밝힌대로 8천 6백만의 사람들이 그들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노력들은 대단한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노키아는 아직도 이들을 선별해서 그들의 핸드셋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정돈된 패키지를 만드는 작업을 하고 있다. 게다가, 그들이 제공하는 서비스 대부분은 페이스북이나 애플의 iTunes, 구글 맵 같은 인기있는 서비스들과 경쟁해야 한다. 한층 더 복잡한 것은, 통신사들이 노키아가 그들의 서비스를 고객에게 직접 제공하는 것을 꺼려한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그들도 똑같은 것을 하고 싶어하기 때문이다.


Worse, while dealing with these problems, Nokia has seemed to neglect its main business. The first version of its flagship smart-phone, called the N97, was a let-down. It has as many bells and whistles as a Swiss army knife, says Carolina Milanesi of Gartner, a market-research firm, but its software, based on Symbian, makes them almost impossible to use. “It is like having a Ferrari body with a Fiat Cinquecento engine inside,” she says.


더욱 안좋은 것은 이러한 문제들을 처리하느라 노키아가 그들 본연의 일을 망각하고 있는 것 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N97라 불리는 그들의 플래그쉽 스마트폰의 첫번째 버전은 실망스럽다. 그것이 스위스 아미 칼처럼 많은 벨과 휘슬을 가지고 있지만,  심비안에 기반한 탑재 소프트웨어는 그들을 사용하는 것을 거의 불가능하게 만든다고 시장 조사 기관 Gartner의 Carolina Milanesi는 말했다. 그녀는 “마치 패라리의 차체에 Fiat Cinquecento의 엔진을 장착한 것과 같습니다.” 라고 말했다. (역주: Fiat Cinquecento는 최대 1100cc의 배기량을 가진 소형차)


Last February Nokia’s management kicked off what is internally known as a “transformation project” to address all these concerns. “We needed to move faster. We needed to improve our execution. And we needed a tighter coupling of devices and services,” explains Mary McDowell, Nokia’s chief strategist. The firm has since introduced a simpler internal structure, cut its smart-phone portfolio by half, ditched weaker services and begun to increase Ovi’s appeal to developers by allowing them to integrate Nokia’s services into their own applications. While giving Symbian a makeover it is also pushing a new operating system, called Maemo, for the grandest, computer-like smart-phones.


지난 2월 노키아의 경영진은 이러한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변화 프로젝트”라 불리는 것을 시작했다.  “우리는 더 빠르게 움직일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는 업무 수행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기기와 서비스를 더 긴밀히 연결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노키아의 최고 전략 담당 Mary McDowell 이 설명했다. 내부 조직이 간결하게 정비된 탓에, 그들의 스마트폰 단말 종류를 절반으로 줄이고, 취약한 서비스는 중단하고 개발자들에게 Ovi를 통해 노키아의 다른 서비스를 쉽게 이용해서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게 해서 이를 더 매력적으로 보이도록 했다. 컴퓨터와 같은 멋진 스마트폰을 위해심비안을 새 단장하고 이를 Maemo라 불리는 새로운 운영체제로 계량하고 있다.


All this will no doubt help Nokia come up with better, if not magic, products. The firm may even reach its goal of 300m users by the end of 2011 because its efforts are not aimed just at rich countries, but at fast-growing emerging economies where Nokia is still king of the hill, such as India. There, services such as Nokia Money, a mobile-payment system, and Life Tools, which supplies farmers with prices and other information, fulfil real needs, says John Delaney of IDC, another market-research firm.


이러한 모든 것들이 노키아가 더 좋은 제품을 만들 수 있게 하리라는 것에 대해서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선진국 뿐 아니라 인도 같은 빠르게 성장하는 개발 도상국에서의 제왕적인 위치 덕택에 노키아는 2011년 말까지 3억 이용자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시장 조사 기관 IDC의 John Delaney는 인도에서의 모바일 결제 시스템인 Nokia Money 나, 농부들에게 가격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Life Tool 같은 서비스들은 실제 사용자 요구를 만족 시킨다고 말했다.


Yet it is an entirely different question whether Nokia will manage to dominate the mobile industry once more—not just by handset volumes, but by innovation and profits. The example of the computer industry, in which the centre of gravity began shifting from hardware firms to providers of software and services over two decades ago, is not terribly encouraging: of the industry’s former giants, only IBM really made the shift successfully. Then again, Nokia has reinvented itself many times since its origin in 1865 as a paper mill. That, points out Dan Steinbock, the author of two books on the firm, is thanks not only to sisu, but also to a remarkable willingness to embrace change and diversity. Nokia will need those traits in the years ahead.


하지만 노키아가 핸드셋 판매량이 아닌 혁신이나, 수익률 측면에서 다시한번 모바일 산업을 지배하게 될지는 완전히 다른 문제이다. 산업의 중심이 하드웨어 기업에서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이동했던 20여년 전의 컴퓨터 산업에서의 예는 상당히 고무적이다. 예전의 거대 기업이었던, IBM 만이 이러한 이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그리고 또한, 노키아는 종이 공장이었던 1865년의 설립이래 많은 자기 혁신을 이뤄 왔다. 이러한 것은 “sisu” 뿐이 아닌 변화와 다양성을 포용하는 놀랄만큼의 열성 덕택이라고 노키아에 대한 2권의 책의 저자 Dan Steinbock은 지적했다. 노키아는 미래에는 이러한 특성들이 필요하다.

[Economist] Hitting the slopes

Hitting the slopes



Dec 28th 2009 From Economist.com


How to make skiing more ecologically friendly
어떻게 스키를 더 환경 친화적으로 즐길 수 있을까?


CONSERVATIONISTS have never liked ski resorts and for good reason. Trees are chopped down to make way for trails that skiers can use. This breaks up forest habitat and stresses local species that are disturbed not only by the construction but also by the skiers themselves during the day and the maintenance crews at night. The machines used to create a smooth piste compact the ground and remove the topsoil, leaving scars down mountainsides that are clearly visible when the snow melts, as are the pylons used by the ski lifts. Yet a new study has revealed that certain ski slopes have unexpected ecological benefits.


환경 보호론자들에게는 절대 스키 리조트를 좋아하지 않을 수 밖에 없는 적당한 이유들이 있다. 나무는 스키어들이 이용할 수 있는 길을 만들기 휘애 베어진다. 이것은 숲 생태계를 파괴하고 낮에는 스키어들, 밤에는 유지 보수 스텝들이 지역 생물 종들을 방해하여 스트레스를 받게 한다. 완연한 활강코스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기계들은 땅을 다지고, 표토를 제거하여 그 흔적을 산비탈을 따라 남긴다. 이는 눈이 녹은 이후에는 확실히 눈에 띈다. 또 스키 리프트를 위한 기둥들도 세워지게 된다. 하지만 최근의 한 연구에서 어떤 스키 슬로프는 기대되지 않았던 환경적 이득을 가져온다고 밝혀졌다. 


The most popular ski resorts in Europe are at high altitudes, where snow falls early in the season and, with luck, regularly throughout it. Most studies of the ecological impact of skiing have examined the ecological devastation caused by these resorts. However,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impact of skiing at resorts popular in the American west that are typically built at lower altitudes, below the tree line. The ski slopes at such resorts are created in one of two ways: chopping down trees, leaving small stumps that are covered by snow; and chopping down trees, removing the stumps, relocating any boulders and machine-levelling the ground.


유럽에서 가장 인기있는 스키 리조트는 눈이 시즌 초반부터, 또 운이 좋다면 시즌 내내 계속되는 높은 고도에 위치한다. 스키의 환경 영향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리조트들에 의한 환경파괴를 다루고 있다. 하지만, 몇몇 연구들은 미서부지역의 인기있는, 수목 한계선 아래의 낮은 곳에 위치한 리조트에서 스키의 영향을 다룬다. 이러한 리조트에 위치한 스키 슬로프들은 두가지 방법으로 만들어진다. 나무를 베어내고 작은 그루터기들을 눈에 덮이도록 남겨놓거나, 혹은 나무를 베어내고 그루터기를 제거하고 바위를 재배치하고 기계를 이용하여 땅을 고른다.



Jennifer Burt and Kevin Rice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decided to examine the American system. They studied seven resorts of differing sizes close to Lake Tahoe in northern California and Nevada, all of which had most of their ski runs below the timberline. Dr Burt and Dr Rice surveyed the vegetation and soils on the different ski runs and then compared them to adjacent areas of nearby forest. To do this they designated large plots (some 20 metres by five metres) in which they counted how many plants were present as well as the number of species represented. They also measured soil compaction and erosion.


UC Davis의 제니버 버트와 케빈 라이스는 이러한 미국의 시스템을 연구해 왔다. 그들은 캘리포니아 북부와 네바다 근처에 위치한 다양한 큭리의 리조트 7개를 연구해왔으며 이들 전부의 슬로프는 수목한계선 아래에 위치해 있다. 버트 박사와 라이스 박사는 다양한 슬로프들에서 채집한 식물과 흙을 근처 숲의 인접 영역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큰 격자 구획을 정하고 (20~5M) 이 안에서 발견한 식물의 수와 생물의 종 수를 세었다. 또한 흙의 다져짐의 정도와 침식 상태를 측정하였다.


What they found was that the way in which the trails had been constructed accounted for nearly all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lants and the diversity of species present. Ski runs that were machine-graded and cleared of boulders and stumps tended to have small herbaceous plants growing on them and little else. Such growth is typical in regions of great environmental disturbance and usually represents the first steps in a region towards ecological recovery. The trails that had simply been cleared of trees were dominated by shrubs, which usually indicate terrain that is ecologically well developed.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exposed bare ground was also dramatic: it accounted for an average 48% of ground cover on graded runs, and just 23% of cleared runs.


그들은 슬로프를 만드는 방법이 발견된 종의 다양성과 식물의 수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기계에 의해 골라지고, 그루터기와 바위들이 제거되었던 슬로프는 대부분 작은 초본식물들이 자라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심각한 환경파괴가 일어난 지역에서 일반적이며, 생태학적 복구를 향한 첫 발걸음을 나타낸다. 단지 나무만이 베어졌던 슬로프는 관목이 울창했는데, 이는 보통 생태계가 아주 잘 번성한 구역을 나타낸다. 맨땅이 그대로 드러난 영역의 차이또한 상당했다. 잘 골라진 영역에서는 48%의 땅이 덮인데 반하여 깨끗하게 치워진 곳은 오직 23%에 불과했다.


Soil differed markedly as well, with erosion on machine-graded slopes being significantly more severe than erosion on slopes that had simply been cleared of trees. Measurement of soil compaction, which is importan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oil is soft enough for plant roots to grow into, and how much water can be absorbed by it, found that the soil was twice as hard on graded runs than it was on cleared runs and untouched forests.


토질도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기계에 의해 골라진 슬로프는 단순히 나무만 제거된 것에 비해서 훨씬 더 침식의 정도가 심했다. 땅이 얼마나 부드러워서 식물의 뿌리가 뚫고 자랄 수 있는가, 또 물이 얼마나 스며들 수 있는가 등을 결정하기 때문에 중요한 흙의 다져짐의 정도는 골라진 슬로프에서 단순히 치워진 슬로프 혹은 자연상태의 숲에 비해서 2배나 더 단단했다.


In fact, far from finding that all ski trails are disturbed habitats, what Dr Burt and Dr Rice found was that tree-cleared ski runs are often much more similar to forests than they are to ski runs that have been machine-graded. Indeed, the researchers reckon that ski runs cleared of only trees offer some ecological benefits because they locally increase native species diversity and habitat variety without creating harsh boundaries that leave species near the forest edge exposed. They report their results in this month’s issue of Ecological Applications.


사실, 모든 스키 슬로프가 생태계를 교한 시키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버트 박사와 라이스 박사가 발견한 것은 나무가 제거된 스키 슬로프가 보통 기계에 의해 골라진 스키 슬로프보다 훨씬 더 숲과 유사하다는 것이다. 사실, 그들은 오직 나무만 제거된 스키 슬로프는 일정 환경적인 이익을 가져온다고 예상한다. 왜냐하면 이는 주변 숲과 맞다은 부분과 확실한 종의 경계를 만들지 않으면서도 지역적으로 토착 종에의 다양성과 생태계의 다양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그들이 이러한 결과를 이 달 발행된 Ecological Applications에 게재하였다.


Although your correspondent notes that American-style skiing appears to be far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than its Alpine counterpart, he cannot advocate Europeans crossing the Atlantic Ocean and, indeed, most of America itself for a ski holiday. Instead, any new ski runs on either side of the Atlantic Ocean and elsewhere should be created at relatively low altitudes and by tree clearance rather than machine-grading, a lesson that also holds true for firebreaks, power line rights-of-way and temporary access roads.


비록 미국 스타일의 스키가 알프스에서의 스키보다 훨씬 환경 친화적인 것처럼 묘사되었지만, 스키 시즌을 위해 대서양을 건너 대부분 미국에 위치한 스키장을 찾은 유럽인들을 옹호할 수는 없다. 대신, 대서양 양쪽, 혹은 어디든 비교적 낮은 고도에 새로 생기는 스키 슬로프들은 기계에 의해 골라지는 방법보다는 나무를 베는 방법에 의해 만들어져야 한다. 이러한 연구는 방화선, 송전선 용지, 임시 접근로를 만드는 방법에도 같이 적용될 수 있다.


——–


우리나라의 모든 스키장은 다 수목한계선 아래에 위치할 텐데 이러한 연구에 대한 고려를 하고 스키장을 만드는지 궁금하네. 스키장을 만드는데 있어서의 환경 영향 평가 같은 것도 받고는 있겠지? 그래도 스키장을 만드는데 환경 친화적이니 요소를 고려할 수 있다는 것이지 스키장 자체를 건설하는 것이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명확히 해야 할 듯. 자연은 자연대로 내버려 두는 것이 자연스러울 수 있을 것이다.

[Economist] 넘쳐나는 암호들 (Passwords aplenty)

Passwords aplenty
넘처나는 암호들

Dec 18th 2009 | LOS ANGELES
From Economist.com

How to stay sane as well as safe while surfing the web
어떻게 안전하면서도 헷갈리지 않게 웹을 이용할 수 있을까?

AT THIS time of the year, your correspondent crosses the Pacific to Japan for a month or so. He repeats the trip during the summer. He considers it crucial in order to keep abreast of all the ingenious technology which, once debugged by the world’s most acquisitive consumers, will wind up in American and European shops a year or two later.

이맘 때, 특파원은 태평양을 건너 일본을 한달 남짓 방문한다. 그는 여름에도 이와 같은 일을 한다. 그는 이것이 첨단 기술에 발 맞추어 가는데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 이 기술들은 세계에서 가장 열정적인 일본의 소비자들에 의해 검수 받았고, 한두해 뒤에는 미국과 유럽의 상점들에 활기를 불어 넣을 것이다. 

Each time he packs his bags, though, he is embarrassed by having to include a dog-eared set of notes that really ought to be locked up in a safe. This is his list of logons and passwords for all the websites he uses for doing business and staying in touch with the rest of the world. At the last count, the inch-thick list accumulated over the past decade or so—your correspondent’s sole copy—includes access details for no fewer than 174 online services and computer networks.

하지만 짐을 꾸릴때 마다 그는 정말 안전하게 보관되어야 할 귀퉁이가 접힌 한아름의 노트들을 집어 넣는데 골머리를 앓는다. 여기에는 일을 위해 접속하는 웹사이트들과 다른 나라의 사람들과 연락을 위한 로그인 정보와 비밀번호들이 적혀있다. 최근까지 10여년이 넘게 축적된 두꺼운 리스트에는 그 한사람을 위한 카피만 해도 최소 174개 이상의 온라인 서비스와 컴퓨터 네트워크 정보가 기록되어있다.

He admits to flouting the advice of security experts: his failings include using essentially the same logon and password for many similar sites, relying on easily remembered words—and, heaven forbid, writing them down on scraps of paper. So his new year’s resolution is to set up a proper software vault for the various passwords and ditch the dog-eared list.

그는 보안 전문가의 조언을 무시한 것을 후회한다. 그의 잘못은 비슷한 웹사이트들을 위해 같은 로그인 정보와 비밀번호를 사용한 것, 쉽게 기억할 수 있는 단어들을 사용한 것, 또한 당치도 않게 그 정보를 종이에 적어놓은 것이다. 따라서 그의 신년 계획은 적당한 소프트웨어를 찾아 비밀번호를 관리하고 그 낡은 리스트를 버리는 것이다.

Your correspondent’s one consolation is that he is not alone in using easily crackable words for most of his passwords. Indeed, the majority of online users have an understandable aversion to strong, but hard-to-remember, passwords. The most popular passwords in Britain are “123” followed by “password”. At least people in America have learned to combine letters and numbers. Their most popular ones are “password1” followed by “abc123”.

그의 단 하나 위안거리는 그가 자신의 비밀번호로 쉽게 깨지는 단어를 선택해서 쓰는 유일한 사람은 아니라는 점이다. 사실, 온라인의 대다수는 강력하지만 외우기 어려운 암호를 쓰기 싫어하는, 일견 이해가 되는 꺼려함을 가지고 있다. 영국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비밀번호는 "123"이고 이에 뒤이어 "password"이다. 미국 사람들은 문자와 숫자를 섞어야 한다는 사실을 배운 것 같다. 그들이 가장 많이 쓰는 암호는 "password1"이고 뒤이어 "abc123"이다. 

Unfortunately, the easier a password is to remember, the easier it is for thieves to guess. Ironically, the opposite—the harder it is to remember, the harder it is to crack—is often far from true. That is because, not being able to remember long, jumbled sets of alphanumeric characters interspersed with symbols, people resort to writing them down on Post-it notes left lying around the office or home for all and sundry to see.

불행히도, 외우기 쉬운 간단한 비밀번호는 도둑들에게도 추측하기 쉽다. 역설적으로, 그 정반대, 즉 외우기도 어렵고 따라서 깨지기도 쉬운 비밀번호라는 것도 사실과는 거리가 멀다. 이것은, 너무 길고 알파벳과 숫자가 뒤죽박죽이 되어 기호 사이에 흩어져 외우기 어렵기 때문에, 사람들은 이를 포스트 잇 노트에 써서 사무실이나 집에 전부 붙여놓게 된다.

Apart from stealing passwords from Post-it notes and the like, intruders basically use one of two hacks to gain access to other people’s computers or networks. If time and money is no problem, they can use brute-force methods that simply try every combination of letters, numbers and symbols until a match is found. That takes a lot of patience and computing power, and tends to be the sort of thing only intelligence agencies indulge in.

비밀번호를 포스트 잇 노트에서 몰래 훔쳐 보는 등의 방법과는 별도로 칩입자들은 사람들의 컴퓨터나 네트워크 접근 권한을 얻기 위해 보통 하나 혹은 두개 정도의 해킹 방법을 사용한다. 만약 시간이나 돈이 충분하면 막무가내로 가능한 모든 문자, 숫자, 기호들을 넣어서 비밀번호를 찾아낼 수 있다. 이 방법은 엄청난 인내와 컴퓨팅 파워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첩보 기관에서나 쓰이는 기술이 되었다.

A more popular, though less effective, way is to use commercial software tools such as “L0phtCrack” or “John the Ripper” that can be found on the internet. These use dictionaries, lists of popular passwords and rainbow tables (lookup tools that turn long numbers computed from alphanumeric characters back into their original plain text) to recover passwords.

더 인기있지만 덜 효과적인 방법 하나는 "L0phtCrack"나 "John the Ripper" 같은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는 상용 소프트웨어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소프트웨어들은 사전과 인기있는 비밀번호들의 리스트, 또 레인보우 테이블(알파벳/숫자로부터 계산된 긴 숫자들을 다시 원래의 텍스트로 돌리는 기능을 하는 도구)을 비밀번호를 알아내기 위해 사용한다.

According to Bruce Schneier, an independent security expert, today’s password crackers “can test tens—even hundreds—of millions of passwords per second.” In short, the vast majority of passwords used in the real world can be guessed in minutes. And do not think you are being smart by replacing the letters “l” or “i” in a password with the number “1”; or the letter “s” with the number “5” or the symbol “$”. Cracking programs check all such alternatives, and more, as a matter of course.

보안 전문가 브루스 슈나이더에 따르면, 오늘날의 비밀번호를 도용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수천만, 수억개의 비밀번호를 1초에 테스트해 볼수 있다고 한다. 즉, 거의 대부분의 일상적으로 통용되는 비밀번호는 몇 분이면 알아낼 수 있다. 또 비밀번호에서 단지 글자 ‘ㅣ’이나 ‘i’를 숫자 ‘1’로 바꾸거나, 글자 ‘s’를 숫자 ‘5’ 혹은 기호 ‘$’로 바꾼다고 충분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금물이다. 해킹 프로그램들도 당연히 그런 수법들을 체크하는 것 이상을 한다.

What should you do to protect yourself? Chose passwords that are strong enough to make cracking them too time consuming for thieves to bother.

비밀번호를 지키기 위해서는 그렇다면 어떤 일을 해야 할까? 충분히 강력해서 알아내는데 시간이 오래걸리고 따라서 도둑들이 짜증나도록 하는 비밀번호를 선택해야 한다.

The strength of a password depends on its length, complexity and randomness. A good length is at least eight symbols. The complexity depends on the character set. Using numbers alone limits the choice to just ten symbols. Add upper- and lower-case letters and the complexity rises to 62. Use all the symbols on a standard ASCII keyboard and you have 95 to choose from.

비밀번호의 강력함은 그것의 길이, 복잡도, 임의성에 달려있다. 최소 8글자 이상의 길이를 가져야 한다. 복잡도는 어떤 글자 집합을 사용하는 지에 달려있다. 숫자만을 사용한다면 10개의 선택지 밖에 주어지지 않는다. 소문자, 대문자 알파벳을 사용한다면 복잡도는 62까지 올라간다. ASCII 표준 키보드에 나오는 모든 기호를 사용하면 95개 중 선택할 수 있다.

The third component, randomness, is measured by a concept borrowed from thermodynamics—the notion of entropy (the tendency for things to become disordered). In information theory, a tossed coin has an entropy of one “bit” (binary digit). That is because it can come down randomly in one of two equally possible binary states.

세번째 요소인 임의성은 열역학에서 차용한 개념인 "엔트로피"로 측정된다. (어떤것이 혼란스러워 지려하는 경향성) 정보 이론에서, 던져진 동전은 1 bit의 엔트로비를 가진다. (이진수) 이것은 가능한 2개의 상태에서 동일한 확률로 하나가 선택되기 때문이다.

At the other extreme, when you set the encryption of a Wi-Fi link, you are usually given the choice of 64-bit or even 128-bit security. Those bit-numbers represent the entropy (or randomness) of the encryption used. A password with 64 bits of entropy is as strong as a string of data comprising 64 randomly selected binary digits. Put another way, a 64-bit password would require 2 raised to the power of 64 attempts to crack it by brute force—in short, 18 billion billion attempts. A 64-bit password was finally cracked in 2002 using brute-force methods. It took a network of volunteers nearly five years to do so.

반면, Wi-fi 링크에 대한 암호를 설정할때는 보통 64bit 혹은 128bit의 보안을 설정해야 한다. 이 bit들은 사용되는 암호의 엔트로비 (임의성)을 나타낸다. 64bit의 비밀번호는 2진수 중에 64번 임의로 선택된 일련의 데이터 만큼의 강력함을 가진다. 다르게 말해서, 64비트의 비밀번호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2의 64제곱, 10억이 180억개 있는 것 만큼 시도를 필요로 한다. 64비트 비밀번호는 이러한 단순한 방법에 의해 2002년 깨진 전례가 있다. 자원자들이 동원되어 거의 5년이 걸렸다.    

The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the American government’s standards-measuring laboratory in Gaithersburg, Maryland, recommends 80-bit passwords for state secrets and the like. Such security can be achieved using passwords with 12 symbols, drawn from the full set of 95 symbols on the standard American keyboard. For ordinary purposes, that would seem overkill. A 52-bit password based on eight symbols selected from the standard keyboard is generally adequate.

미국 정부의 표준 제정 연구소로 메릴랜드 게이터스버그에 위치한 표준 기술 국가 기구은 주 기밀 문서 등에 대해 80bit의 비밀번호를 권장한다. 이는 95개의 심볼로 이루어진 미 표준 키보드에서 12개를 뽑아서 비밀번호로 사용하는 것과 같다. 일반적인 목적으로 이는 너무 과해 보인다. 표준 키보드에서 뽑아낸 8개의 심볼로 이루어진 52bit의 비밀번호라면 일반적으로 충분하다.

How to select the eight? Best to let a computer program generate them randomly for you. Unfortunately, the result will be something like 6sDt%k&3 that probably needs to be written down. One answer, only slightly less rigorous, is to use a mnemonic constructed from the first letters (plus contractions) of an easily remembered phrase like “Murder Considered as One of the Fine Arts” (MCa1otFA) or “To be or not to be: that is the question” (2Bo-2b:?).

어떻게 8개를 선택해야할까? 컴퓨터 프로그램이 임의로 8개를 선택하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다. 불행히도, 결과는 "6sDt%k&3" 과 같아서 어딘가에 적어 놓아야 할 것이다. 하나의 해결책은 조금 덜 정확 하지만, 첫 글자들로만 이루어진(축소법도 함께) "Murder Considered as One of the Fine Arts" (MCa1otFA)나 "To be or not to be: that is the question" (2Bo-2b:?) 같은 기억 부호를 사용하는 것이다. 

Given a robust 52-bit password, you can then use a password manager to take care of the dozens of easily guessable ones used to access various web services. There are a number of perfectly adequate products for doing this. In an early attempt to fulfil his new year’s pledge, your correspondent has been experimenting with LastPass, a free password manager that works as an add-on to the Firefox web browser for Windows, Linux or Macintosh. Versions also exist for Internet Explorer on Windows and Safari on the Mac.

다양한 웹서비스들의 접근을 위해 쉽게 추측할 수 있는 다수의 비밀번호를 관리해주는 비밀번호 관리자를 강력한 52비트의 비밀번호 하나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완벽하게 구현한 다수의 제품들이 있다. 특파원이 그의 신년 맹세를 지키기 처음으로 사용한 것은 LastPass라는 비밀번호 관리자이다. 이것은 윈도우나 리눅스, 매킨토시에서의 파이어폭스 웹 브라우져의 Add-on 형태로 구동된다. 물론 윈도우의 인터넷 익스플로러나, 맥에서의 사파리를 위한 버젼도 있다.

Once installed and given a strong password of its own, plus an e-mail address, LastPass encrypts all the logons and passwords stored on your computer. So, be warned: forget your master password and you could be in trouble—especially if you have let the program delete (as it urges you to let it do) all the vulnerable logons and passwords on your own computer.

인스톨 후에 이 프로그램 자체를 위한 강력한 비밀번호를 하나, 그리고 이메일을 위한 것 하나를 부여하면 LastPass는 모든 로그인 정보와 비밀번호를 암호화해서 설치된 컴퓨터에 저장한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을 위한 마스터 비밀번호를 잃어버리지 않아야 하고, 또 저장되어있는 모든 취약한 비밀번호를 삭제하라고 시키는 경우도 (확인 과정이 있지만) 곤란해 질 수 있다.

Thereafter, to visit various web services, all you have to do is log into LastPass and click the website you wish to check out. The tool then automatically logs you on securely to the selected site. It will even complete all the forms needed to buy goods online if you have stored your home address, telephone number and credit-card details in the vault as well.

그 이후, 다양한 웹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간단히 LastPass에 로그인해서 접속하기 원하는 웹사이트를 클릭하기만 하면 된다. LastPass가 자동적으로 안전한 방법으로 선택한 사이트에 로그인 시켜 줄 것이다. 온라인 쇼핑을 위해 채워 넣어야 하는 집주소, 전화번호, 신용카드 정보들도 이 소프트웨어 속에 안전하게 보관 될 것이다. 

Your correspondent looks forward to using the service while travelling around Japan over the next month or so. To be on the safe side, however, his dog-eared list of passwords will still go with him.

이 특파원은 다음달에 있을 일본 방문때 이러한 서비스들을 사용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정말로 안전하려면 그의 귀퉁이가 접힌 비밀번호 노트들을 항상 가지고 다녀야 할 것이다.

—————

정말 비밀번호 ‘헬’이다. 누가 마음만 먹고, 충분한 끈기만 가지고 있다면, 비밀번호를 알아내는 것 쯤은 아무것도 아닌 세상이다. 단지 그 타켓이 될 만큼 유명해지지 않기를 바랄뿐.

[Economist] 잘 될겁니다, 주인님 (That will do nicely, sir)

A mobile payment system
모바일 지불 시스템


That will do nicely, sir
잘 될겁니다 주인님


Dec 9th 2009 | SAN FRANCISCO
From Economist.com

Street traders can now accept credit cards—so long as you trust them

이제 노점상들도 당신이 믿을 수만 있다면 신용카드를 받을 수 있다.



THE economy might be cashless but people still use the stuff, if only to reimburse a colleague who bought their lunch or pay for a newspaper from a street vendor. Now a new device called Square that was launched on December 4th will enable individuals and small businesses to accept electronic payments by turning any device with an audio-input jack—such as a computer or a mobile phone—into a credit-card terminal.


경제는 현금이 필요없지만, 사람들은 동료에게 빛진 점심 값을 갚거나, 노점상에서 신문을 살 때라면 아직도 현금을 이용한다. 12월 4일 새로 발매된 스퀘어라 불리는 장치는 개인이나 소상인들이 컴퓨터나 휴대 전화처럼 오디오 입력 단자가 있는 장치를 신용 카드 결제기로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자결제를 지원할 수 있게 한다.


Square consists of a small plastic cube, slightly larger than a sugar lump, with an audio plug attached. The cube has a slot through which the magnetic stripe of a credit card can be slid. When the cube is plugged into an iPhone, it reads the card number and sends it (in the form of an audio signal) to a piece of software on the phone that then encrypts it and authorises the payment over the internet. (If the phone has no internet connection, the data can be stored until one can be established later.) The customer signs for the transaction using a fingertip on the phone’s touch-screen.


스퀘어는 오디오 플러그가 장착된 각설탕보다 조금 큰 플라스틱 정육면체 형태로 생겼다. 이 정육면체에는 신용카드의 마그네틱을 긁을 수 있는 홈이 있다. 만약 이 것이 iPhone에 장착되면 이를 통해 카드 번호를 읽어들이고 이 오디오 신호 형태의 입력을 휴대 전화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로 전송한다. 이 소프트웨어에서는 이를 암호화 한 후 인터넷을 통해 해당 결제를 인증하게 된다. (만약 휴대전화가 인터넷 연결이 되어있지 않다면 이후 다시 연결 될때까지 이 정보는 저장된다) 결제를 위한 고객의 사인은 이 휴대 전화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손가락으로 입력 받게 된다.


Once the transaction has been approved, the funds are transferred into the bank account of the phone’s owner. The customer can chose to receive a receipt by e-mail or text message. If he chooses e-mail, the receipt will include an electronic map showing where the purchase was made, along with a facsimile of the signature. Customers can even take a photo of the product to remind themselves what it was they bought.


해당 거래가 승인되면, 대금은 휴대 전화 소유자의 계좌로 송금된다. 고객은 영수증을 이메일이나 문자 메시지로 선택해서 받을 수 있다. 만약, 고객이 이메일을 선택한다면, 영수증에는 모사된 사인과 함께 어디서 이 구매가 이루어졌는지를 표시하는 전자 지도도 받게 될 것이다. 고객은 그들이 구입 한 것이 무엇이었는지 알려줄 제품 사진을 찍을 수도 있다.   


America lags behind East Asia, where people commonly use mobile payment systems to buy items at train stations and convenience stores with the swipe of a mobile phone. But Americans are accustomed to using PayPal to make secure online payments, and some people use Obopay to transfer money via text message. Square is trying to simplify the process and tap into this new market.


미국은 사람들이 기차역이나 편의점에서 물건을 살때 휴대 전화를 사용하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이 보편화된 동아시아에 비해서 뒤져 있다. 하지만 미국인들은 안전한 온라인 결제를 위해 PayPal을 이용하는데 익숙하고, 일부는 문자 메시지를 이용해 돈을 송금할때 Obopay를 이용하기도 한다. 스퀘어는 이 과정을 단순화시켜 새로운 시장를 활용하려 하고 있다.


Currently, only 100 Squares exist. They are being tested by small retailers, including clothing and coffee shops, in San Francisco, St Louis, Los Angeles and New York. But Square could, in principle, be used by almost anyone (including consumers) to make and receive secure payments easily. For now, the device only works on the iPhone. But because it uses the audio jack, it should be fairly easy to make it work on other devices, too, such as BlackBerry and Android handsets and desktop and laptop PCs.


현재는 오직 100개의 스퀘어만 보급되었다. 이들은 뉴욕, 세인트루이스,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옷가게, 까페등의 소매점에서 시험 운용 중이다. 하지만, 이론상으로 스퀘어는 안전하고 쉬운 결제를 하고, 받고 싶은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고객들도 포함된다) 현재 이 장치는 iPhone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하지만, 이것이 오디오 단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블랙베리나 안드로이드 휴대단말, 데스크탑, 노트북 등 다른 장치들도 지원하게 하는 것은 쉬운 일이다.


Jack Dorsey, one of the co-founders of Twitter, who is also a co-founder of Square, reckons that it will enable new businesses to be set up quickly. He says, “I can buy [an iPod touch] for $200, get the app and I’m in business. I don’t need a contract with AT&T or anything. I’m in business.” He says the Square hardware will be free and the software will probably cost about $1. Square will make money by taking a cut of every transaction processed.


트위터의 공동 설립자이자 스퀘어의 공동 설립자 이기도 한 Jack Dorsey는 이 것이 새로운 비지니스를 빠르게 확립 시킬 것이라고 내다본다. 그가 말하길, “나는 아이팟 터치를 200불에 살 수 있습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받아 바로 사업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AT&T나 다른 회사와 계약할 필요도 없습니다. 나는 벌써 영업중입니다.” 그는 또 스퀘어 하드웨어는 무료로 제공 될 것이고, 소프트웨어는 1불 내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스퀘어는 모든 체결된 결제에 대한 수수료로 돈을 벌 것이다.


Square can only accept credit cards affiliated with American banks, but that may change over the coming months. Future versions of the software will also support foreign currencies and the ability to include a tip in the payment.


스퀘어는 미국 은행에 가맹된 신용카드만 받을 수 있지만, 다음 몇 달 동안 이는 바뀔 것이다. 다음 버젼의 소프트웨어는 다른 나라의 통화도 지원할 것이고, 결제에 팁을 포함할 수 있는 기능도 추가 될 것이다.

—–

SKT나 KT가 카드회사를 인수하려고 하는 이유가, 이러한 지불 방식이 활성화 될 때를 대비하려는 것인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