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형은 모두 다른 모습을 하고 있지만, 세상 모든 것에 스며 있다. 균형은 어떤 모습을가진 상이 있는 것이 아니다. 만물이 평화롭게 수십, 수 백 년, 영원의 시간이 흐르면 다다르는 곳을 균형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자연스러움에 대한 새삼스러운 깨달음 이후 내 삶에 균형을 전면적으로 도입 하기로 했다. 균형이 있는 삶이란 강렬하게 열망하지 않고, 깊고 까만 구멍만큼 실망하지도 않는다. 수천년을 살아온 듯한 완벽하게 균형 잡힌 삶, 고요한 새벽의 수영장 같은 삶 위에서 의도된 움직임과 물결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읽는 만큼 쓰기’
나는 많은 책을 읽고 있다. 글자를 읽을 수 있게 된 이후, 일년에 36권 이상 책을 본다. 하지만 읽기만큼 쓰지 않아 ‘지적 소화 불량’ 상태에 걸려 있다. 머리 속에 떠오르는 생각이나 느낌, 미래에 꼭 다시 곱씹어 볼 화두 들을 정리해야 한다. 정리된 내용은 적어두지 않으면 안된다. 이 생각은 새벽에 깨어난 꿈과 같아서 수 분이 지나면 다시 책 속으로 숨어버리고 마는 것이다. 물론 읽는 시간과 쓰는 시간이 같은 것은 아니다. 물리적 균형을 찾는 것이 아니다. 읽으면서 충분히 생각하고, 이 생각의 결정만큼 쓰는 것이 좋겠다.
‘먹는 만큼 운동하기’
사람은 먹은 만큼 움직일 수 있다. 움직인 만큼 먹어야 한다. 의도치 않게 먹었다면, 그 만큼 움직어야 한다. 일년에 한 개를 먹는 초코렛 때문에 살이 찐다는 이야기가 있다. 많이 먹은 만큼 운동을 해야 하고, 균형을 무너뜨린 조그만 초코바 하나를 먹으면 초코바 하나 만큼 운동을 하겠다. 반대로 운동을 한 만큼 먹는 것도 균형이다. 등산은 포식을 허락한다.
‘공부한 만큼 만들기’
나는 과거의 내가 못하던 것을 할 수 있게 되기 위해 공부를 한다. 공부를 열심히 하고 아는 것 많지만 이를 이용해서 세상에 이뤄놓은 일이 없다면, 그건 놀이다. 지적 놀이나 허영의 충족, 즉 유희다. 이런 헛똑똑이들이 세상에는 많다. 나도 어느 분야에서는 그 중 한명일지 모르겠다. 지금은 공부한 만큼 바꾸어 놓기 위해 힘을 쏟는다. 내가 공부한 만큼 더 잘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해볼 것이다. 그것이 내 공부의 의미이다.
‘혼자인 시간과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
나는 혼자 있을 때 행복하다. 혼자 만의 시간도 분명히 필요하지만 사회적 경계를 조금 더 넓혔을 때 행복해지는 경험을 더 해보고 싶다. 지금까지는 그러지 못했다. 삶에서 중심을 두어야 하는 것은 나의 성장이지 관계의 성장은 아니라고 생각했다. 앞으로는 충분히 혼자 있는 시간을 누리게 될 것이다. 함께하는 시간과의 균형을 맞추려면 의도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행복한 친구가 근처에 있고 자주 만난다면 나도 행복해질 수 있다.
‘집 안에 있는 시간과 집 밖에 있는 시간’
나는 주말의 루틴을 밖에 있는 시간과 집에 있는 시간의 절반으로 나누어 계획해 본다. 밖에 있는 시간은 산책, 등산, 자전거, 운동, 도서관, 까페, 여행, 식사 등이다. 집 안에 있는 시간은 독서, 낮잠, 요리, 청소, 보드게임, 공부, 글쓰기 등이다. 두 가지 상반되는 활동들의 균형을 잡으려고 노력한다. 여기서도 시간의 균형 보다는 에너지의 균형을 찾는다. 2시간의 자전거와 1시간의 낮잠이 등가다. 신체적 활동과 두뇌 활동으로 나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뭐가 되든 좋다. 대척점에 있는 것을 절반씩 섞으면 된다.
‘세속적인 시간과 철학적인 시간’
현실적인 문제를 고민하는 시간이 있다. 현실적인 문제라 함은 은퇴 이후의 경제적 삶이나, 자산을 불리기 위한 재테크일 수도 있다. 고장난 자동차나 자전거의 수리도 포함된다. 또 쇼핑이나 장을 보는 일 일수도 있다. 반면 철학적인 시간이라 함은, 내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고민하는 시간이다. 양쪽 모두 포기할 수 없다. 삶의 현실적인 풍요과 가족이 누리는 순간의 행복을 위해서는 세속적인 것이 중요하다. 내 삶의 완성과 지향점을 단단히 하기 위해서는 철학자가 되는 시간이 필요하다. 양쪽을 잘 조화시켜 세속적인 결정에 철학적 고민이 스며들고, 철학적 판단이 세속적인 판단을 지향하기를 바란다.